A. 아이가 무언가를 훔치는 걸 발견하면 차분한 부모라도 굉장히 놀랄 것입니다. 아동 청소년기의 도벽은 꽤 자주 발생하는 비행 행동 중 하나입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36%의 10대 초반 아이들이 또래의 압력으로 물건을 훔쳤다고 보고한 사례가 있습니다.
하지만 자칫 별일 아닌 것으로 여겨 그냥 넘어가거나, 혹은 큰 실망과 분노로 자녀를 지나칠 정도로 심하게 벌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자녀에게 올바른 행동과 잘못된 행동을 구별하고 스스로 반성하는 기회를 갖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런 행동을 개선할 수 있는 6가지 해결책을 제시해 봅니다.
먼저 부모가 정직의 본보기를 제시해 보는 것입니다. 아이가 정직을 배우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의 올바른 행동을 직접 관찰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차분하게 문제를 대하고 아이의 의도를 평가해 보아야 합니다. 아이가 무슨 이유로 돈이나 물건을 훔치게 되었는지를 자세히 알아보아야 합니다. 이는 자녀의 진실된 마음을 통해 들어야 하기 때문에 아이가 두려움을 이겨내고 진실을 말할 수 있도록 부모가 충분히 기다려주고 격려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 번째로, 정직을 강조하고 왜 훔치는 행동이 잘못된 행동인지에 대해 함께 이야기해야 합니다. 남의 물건이나 돈을 훔치는 행동이 명백히 잘못된 행동이므로 앞으로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주의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네 번째로, 훔치는 행동이 가져오는 영향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합니다. 아이의 행동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상대방의 구체적인 손실 상태, 마음의 고통 등 그 영향에 대해서 이해하고 반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상대방에게 사과하고 훔친 돈과 물건을 돌려주도록 합니다.
다섯 번째로 수치심과 죄책감, 억울함 등의 복잡한 감정을 잘 견뎌내고 있는 자녀에게 꾸준히 격려해 주고, 해결과정을 통해 한걸음 성숙해질 수 있다는 믿음을 전달해 줍니다.
마지막으로 아이가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관심을 가지고, 훔치는 행동이 자극 되지 않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지금의 상황을 반성하여 다음에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않고, 실수는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실수를 통해 배우는 사람은 지혜를 얻게 된다는 걸 알려주면 어떨까요.
박선우 수원시청소년상담센터 상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