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폐쇄 1년_인터뷰] 이희건 경기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

“새 정부, 남북관계 복원·공단 정상화 나서야”

▲
개성공단 가동 중단으로 입주기업은 물론 협력업체들의 연쇄부도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희건 경기개성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에게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요구 사항, 앞으로 개성공단에 대한 전망을 물었다. 이 이사장은 “입주기업 등에 대한 제대로 된 피해 보상이 이뤄지지 않아 도내 입주기업 38개사와 영업소 기업 20개사를 대상으로 피해ㆍ요구 사항을 조사했다”며 “결과를 정부와 지자체에 건의사항으로 제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도내 개성공단 입주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가 궁금하다.

크게 두 가지의 공통된 의견이 나왔다. 개성공단 기업 지원 특별법 제정과 남북 관계 대화의 물꼬를 트는 거다. 1년 전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이 유동자산을 뺄 시간도 주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공단 중단을 발표했다. 

정부의 명백한 책임임에도 기업이 피해를 인정한 금액의 60%가량밖에 보상하지 않았다. 정부의 인정을 받지 못한 피해에는 영업 손실과 운영을 위해 추가로 들어가는 재비용 등 천문학적인 비용이 남아있다.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은 조속히 개성공단 기업 지원 특별법을 제정해 정부차원에서 책임을 보상하는 거다.

 

-1년간 입주기업인들의 어려움이 상당했을 텐데.

매출이 추락하고 바이어를 잃은 건 당연한 일이다. 더 큰 문제는 지금부터다. 정부에서 자금을 지원하면서 이자 부담 등을 1년간 유예해줬다. 이제 각종 대출과 이자 비용을 상환해야 하는 시점이다. 특히 대다수 기업의 신용도가 매우 낮아졌다. 

2013년 개성공단이 중단됐을 때 후유증이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난해 또다시 공단이 멈춰 서면서 기업의 신용도가 급락했다. 신용평가 저하에 따른 정부 차원의 구제책이 있어야 한다.

 

-개성공단 재개에 대한 희망이 남아있는 건가.

당연하다. 국민 대다수도 개성공단 정상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제 개성공단 정상화를 위해 새 정부에서 반드시 힘을 써야 한다. 큰 틀에서는 남북 관계를 복원하려는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개성공단은 단순히 입주기업 등의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남북 평화를 상징하는 그 자체이다. 개성공단이 재가동 될 때 발생할 문제는 제도와 법 등은 국제규범에 맞는 틀로 개선하면 된다. 

정자연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