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유가족들이 2일 배를 타고 나가 그동안 직접 보지 못한 전남 목포 신항에 접안한 세월호 선체의 선상 부분을 두 눈으로 확인했다. 유가족들은 그동안 육지에서 세월호를 실은 반잠수식 선박이 배 밑바닥이 보이도록 접안한 탓에 객실과 조타실이 위치한 선상 부분을 간접적인 사진과 영상으로만 접했다.
이날 해양수산부의 협조로 배를 타고 세월호 선상이 보이는 바다로 나가기 위해 유가족 50여 명은 약 2㎞를 걸어 외부 항구로 향했다. 유가족과 가족 기록단은 13명씩 5개 조로 나눠 항구에서 배편으로 약 15분 거리에 있는 목포 신항으로 향해 했다.
선상의 세월호 수습ㆍ인양 작업 현황을 참관하기 위해 갔지만 사실상 최초로 직접 세월호 선상 모습을 보는 탓에 가족들 얼굴에서는 긴장된 표정이 역력했다. 서로 격려하며 구명동의를 입고 배에 오른 가족들은 세월호 선체가 보이면서 점차 굳은 표정으로 창밖을 응시했다. 유가족을 태운 배가 세월호 선체에 50m가량 접근하자 가족들 입에서는 탄식이 흘러나왔다.
가족들은 “선상이 폭탄 맞은 것 같이 찢기고 부서졌다”며 오열하고, 가족 일부는 쓰러졌다. 일부 유가족은 차마 처참한 세월호 선상 모습을 보지 못하고 얼굴을 돌리고 눈을 감은 것으로 전했다. 20분 동안 참관할 예정이었으나 가족들이 고통스러워 하면서 불과 10분 만에 다시 출발지로 뱃머리를 돌렸다.
유가족들은 시간 감각이 사라질 만큼 지난 2014년 4월16일과 지난 3년여의 고통스런 시간을 다시 느끼며 회색빛으로 변한 낯빛으로 한 손에는 눈물을 닦은 휴지를 쥐고 배에서 내렸다.
단원고 희생자 이영만 학생의 어머니 이미경씨는 “보고 믿기지 않는 처참한 모습에 배가 아닌 것 같았다”며 “처참하게 훼손된 세월호가 사고 당시 그리고 3년 동안 무슨 일을 겪었는지 알고 싶다. 선체조사 작업하는 모습이라도 유가족들이 자유롭게 볼 수 있도록 해달라”고 간곡하게 부탁했다.
연합뉴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