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경기지역 연안은 넓고 광활하며 생태학적 가치가 큰 갯벌지역을 포함하고 있어 경제적 가치 또한 상당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반면, 국내에서 가장 큰 하구유역인 한강하구를 포함하고 있어 육상에서 생긴 오염물질의 집결지가 될 수밖에 없다.
이와 동시에, 점증하는 해상물류, 도서·연안개발, 다양한 수산 및 양식업 등으로 해양쓰레기의 발생원도 다변화하는 추세다. 이들 해양쓰레기로 인해 연안의 해양 생태환경이 교란되면 경제·생태학적인 가치가 잠재적으로 심하게 훼손될 것으로 우려된다.
지난해 인천시에서 수거한 인천 앞바다의 해안쓰레기는 총 4천640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해양으로 유입되는 전체 쓰레기 중 약 60~80%는 플라스틱 종류며, 일부 구역에서는 90% 이상이 플라스틱으로 발견된다고 한다.
또 전체 해변쓰레기의 30%는 스티로폼이 차지하고 있어, 갯벌의 퇴적물에 축적되거나 갯벌 내 저서생물 및 해양조류가 잘못 섭취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인천·경기지역 송도~소래포구 인근의 경우, 저어새 보호구역 등 생태계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다. 하지만, 쓰레기 처리를 두고 벌어지는 인근 시·도와의 처리비용 분담 문제는 아직 속 시원히 해결이 되지 않고 있다.
인천 앞바다의 해양쓰레기는 한강, 임진강, 예성강 등을 통해 주로 유입되고 중국이나 북한 등 국경을 넘어서도 밀려오고 있어 쓰레기 발생지역 및 경로를 특정 짓는 것이 애매한 상황이다.
실제로 해양쓰레기의 정확한 책임 소재를 수치로 가리기 위한 연구용역을 시도하기도 했으나, 출처를 명확히 분별할 수 없어 중도 포기한 적도 있다. 해양쓰레기의 출처를 밝히는 것은 시·도간 갈등 봉합을 위해 시급하지만, 이미 인천 앞바다로 유입된 쓰레기를 처리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특히, 부두나 포구에 만연된 쓰레기들은 인천을 찾는 방문객들에게 지역 이미지만 저해시킬 뿐이다. 해양쓰레기 청소가 취약한 지역은 시 차원에서 적극적인 지원대책이 필요하다. 그리고 해양쓰레기 투기방지 교육과 해양 정화활동 캠페인도 다각적으로 펼칠 필요가 있다. 이때는 교실 안이 아닌 실제 쓰레기로 피해를 입고 있는 지역의 실상을 제대로 보여줘야 할 것이다.
또한, 해양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대학, 해양수산청, 항만공사, 해양환경관리공단, 해경 등 해양쓰레기 유관기관들이 공동협력체계를 마련해 지속 가능한 대응을 해야 할 것이다.
“인천 앞바다에 사이다가 떴어도 고뿌가 없으면 못마십니다~”라는 유명한 만담 형식의 노래가 오래전부터 인기를 끌었다. 적어도 이 노래가 “인천 앞바다에 쓰레기가 떴어도 치우지를 못합니다~”라고 개사가 되지 않길 바란다.
우승범 인하대 해양학과 교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