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 장미대선의 변수, 수도권 투표율이 관건

김창학 정치부장 chkim@kyeonggi.com
기자페이지

김창학 부장.jpg
대한민국 사상 첫 현직 대통령 파면으로 치러지는 5.9 대선은 정치권과 국민을 혼돈에 빠트렸다. 누구도 상상하지도 못한 급작스런 대선에 주요 정당은 정책 공약 대결보다 후보들 간 네거티브에 치중하고 국민은 연일 쏟아지는 출처불명의 진짜 같은 가짜뉴스에 혼란을 겪고 있다. 이 때문일까, 이번 대선의 투표 열기는 그 어느 선거 때보다 뜨겁다. 

본보와 전국 지방대표 7개 언론사가 리얼미터에 의뢰, 지난 1일 보도한 제3차 대선관련 대국민 여론조사결과(조사일시 4월28~29일), 투표 참여의향이 86.9%로 나타났다. 유권자 10명 중 8명이 투표 의지를 밝힌 것이다. 이는 조기 대선의 원인인 제왕적 대통령에 대한 환멸과 정치 불신, 한 표의 소중함을 절실히 느낀 결과로 분석된다. 

그렇다면 투표의향이 실제 투표에 얼마나 반영될까?. 투표 행동의 예측은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력 등 세 가지 변수로 작용한다. 태도는 나의 행동으로부터 발생한 결과에 대한 믿음과 평가다. 주관적 규범은 지인이나 주변인으로부터 압박을 받는 정도와 그 특정 주변인들을 따르고자 하는 나의 행동 수행 여부에 대한 결과다. 

또 지각된 행동 통제력은 외부 요인으로 작용하는 각종 장애에 대한 나의 주관적 행동을 뜻한다. 한국갤럽이 역대 대통령 선거를 일주일 가량 앞두고 실시한 투표의향 여론조사(16ㆍ17ㆍ18대)를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투표의향과 참여가 15~17%p까지 차이났다. 이렇듯 투표 의사가 있어도 실제 투표로 이어지기에는 많은 변수가 작용한다.

 

여기서 본보의 ‘대선후보 당선 가능성’ 질문은 주목할 만하다. 응답자의 68.7%가 문 후보라 답했으며 13.2%, 10.1%가 각각 안, 홍 후보를 택했다. 지지후보가 누구인지와는 별개로 당선 가능성만 물은 것이어서 각 후보 진영에 미치는 영향이 결코 적지 않다.

 

특히 경기ㆍ인천 유권자의 투표 참여가 이번 대선에도 중요한 변수다. 역대 대선 결과를 보면 수도권에서 승리한 후보가 대권을 잡았기 때문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제19대 대통령 선거인명부 확정(국내선거인수+재외선거인수) 결과를 보면, 전국 유권자 수가 4천247만 9천710명이며 이중 경기지역 1천26만 2천309명, 인천지역 240만 9천31명으로 집계됐다. 단순하게 계산해도 유권자 4명당 1명이 수도권에 거주한다는 것을 뜻한다.

지난 16ㆍ17ㆍ18대 대선결과를 보더라도 수도권에서 승리한 후보가 청와대에 입성했다. 경기ㆍ인천 표심은 대선의 최대 승부처이자 바로미터임인 것이다. 그럼에도 주요 정당의 후보들은 수도권 공략보다 영호남지역을 집중 공략하며 공약을 쏟아냈다. 그나마 경기ㆍ인천 공약은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3개 노선 사업 조속 착공,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 해소, DMZ 평화벨트 조성 등 이미 역대 선거에서 발표된 것이나 사업 예정인 프로젝트를 제시해 경기ㆍ인천 유권자의 상대적 허탈감만 더했다.

 

주요 정당의 한 관계자는 “수도권은 뚜렷한 지역 성향도 없고 선거 때마다 바람을 타기 때문에 특별한 전략을 세우지 않는다”며 그 속내를 털어놨다. 그들에게 수도권은 핫바지인 셈이다. 하지만,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다. 경기도의 정체성은 ‘용광로’이다. 전국 시ㆍ도민이 모여 사는 곳, 그 누구도 경기도민이 되는 곳이 바로 경기도다. 제19대 대통령 선거가 나흘 앞으로 다가왔다. 더이상 수도권 유권자를 뿔 나게 해서는 안 된다. 공약( 公約)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김창학 정치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