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당선_향후 일정은] 당선증 받는 즉시 집무… 국회서 취임식

당선자 확정부터 대통령 신분
취임 당일 국립현충원 참배 후 청와대 이동 참모진 등 인선전망

새 대통령은 당선일이 곧 취임일이 된다. 이 때문에 취임 첫날 당선증 수령과 취임식, 청와대 입성 후 일정까지 여느 대통령들과는 매우 다른 하루를 보낼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새 대통령의 임기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0일 전체회의를 통해 당선인을 확정하는 때부터 시작된다. 중앙선관위원장이 회의에서 당선인의 이름을 호명한 뒤 의사봉을 두드리는 바로 그 순간부터다. 대통령직 인수를 위한 준비 기간이 없는 보궐선거로 치러지는 탓이다.

통상적인 대선이라면 결과가 확정된 뒤 당선인 신분으로 인수위원회를 꾸려 약 2개월의 준비 기간을 갖는데 이번 선거는 현직 대통령의 궐위에 따른 것이라서 당선인으로 결정되는 즉시 대통령 신분을 갖게 된다.

 

이번 대선은 9일 오후 8시 투표 마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개표는 10일 새벽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중앙선관위의 전체회의는 이날 오전 9시를 전후해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당선인이 결정되면 이를 증명하는 문서인 당선증이 주어진다. 통상 당선증은 선거대책위원장이 선관위를 방문한 가운데 수여식을 개최해 전달하는 게 관례다. 그러나 이번 선거는 당선인이 곧바로 대통령이 되기 때문에 의전을 고려해 선관위가 직접 당선인에게 전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문재인 당선인은 10일 정오 국회 본관 로텐더홀에서 취임식을 가질 예정이다.

 

또 역대 대통령의 취임 당일 관례에 따라 새 대통령은 국립현충원에 들러 참배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후 새 대통령은 청와대로 이동해 먼저 참모진과 내각 인선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참모진은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이 필요 없어서 임명 즉시 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새 대통령은 취임 당일 수석급 이상 참모진 전원을 새로 인선하거나 비서실장과 민정수석, 대변인 등 당장 중요한 자리만이라도 먼저 인선할 전망이다.

 

내각은 황교안 대행이 새 대통령 당선 즉시 사의를 표명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각 부처 장관들도 황 대행의 사의 표명 직후 함께 사표를 제출할 전망이다. 다만, 새 대통령이 즉시 사표를 수리할지는 미지수다. 국무위원 임명제청을 총리가 갖고 있기 때문에 내각 구성은 신임 총리 임명 이후로 미뤄지게 되기 때문이다.

강해인ㆍ구윤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