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 상동 영상문화단지 내 신세계 백화점 입점이 무산될 갈림길에 선 가운데, 김만수 부천시장이 정부의 눈치를 보는 신세계와 노골적으로 사업을 반대해 온 인근 부평구청장 등을 비난하고 나섰다.
부천시와 신세계는 지난 12일 상동 영상문화단지 내 신세계백화점 건립을 위한 부지 매각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었으나 신세계 측의 갑작스런 연기 요청으로 계약이 체결되지 못했다.
김만수 시장은 이에 이날 자신의 SNS를 통해 계약이 체결되지 못한 상황을 전하며 신세계에 절차에 의해 선정된 공모 사업자로서 사업 추진 의지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김 시장은 신세계 측의 연기 요청 이유로 “새 정부가 출범한 상태에서 바로 계약을 체결하면 정부에 미운털이 박혀 불이익을 당할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 시장은 이어 “(신세계가)민주당 을지로위원회 국회의원들의 압박도 부담스럽고, 그래서 상황을 좀 더 보겠다는 것인데 아직도 구시대의 피해의식이 기업엔 강하게 남아 있나 보다”며 대기업의 정부 눈치 보기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김 시장은 그러면서 상동 영상단지 내 신세계 백화점 건립을 지속적으로 반대해 온 홍미영 부평구청에 대해서도 강력 비판하고 나섰다.
김 시장은 “홍 구청장이 ‘신세계가 (부천에)들어오면 부천 시민들은 인천화장장을 이용하지 못하게 하겠다’고 말했다”면서 “부천 시민들이 화장장을 공짜로 쓰는 것도 아니고 100만 원씩 바가지에 가까운 요금을 내고 이용해주는 고객인데 무슨 얘기인지 의아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이어 “부천시는 인근 전통시장 요구를 받아들여 이마트 할인매장을 제외했는데도 인천에선 사업 자체를 하지 말라는 식”이라고 불쾌감을 표시했다. 애초 시는 백화점과 이마트 트레이더스가 들어서는 대규모 복합쇼핑몰을 계획했다.
특히 김 시장은 “현재 인천시가 추진 중인 대형복합쇼핑몰이 청라ㆍ송도 등 5곳이 넘는다고 하는데 이것도 다 반대해서 백지화시킬 것인지 지켜봐야겠다”고 분명한 입장을 밝히며 대규모 복합쇼핑몰을 유치한 인천시의 입장을 따져 묻기도 했다.
이 같은 김 시장의 글이 올라오자 한 부천 시민은 “인천시가 유치한 대규모 복합쇼핑몰은 지역경기를 위해 환영해야 할 절대 선이고 부천시에 백화점 하나 들어오는 건 경제 민주화를 위한 규제해야 할 절대 악인가”라는 댓글을 올리는 등 많은 시민이 백화점 건립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한편 일각에선 신세계가 계약을 포기하지 않고 시간을 연기하는 것은 110여억 원 정도의 위약금을 물지 않기 위한 고도의 술수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 앞으로 사업 무산의 귀책사유를 둘러싸고 법정 다툼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