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부터 먼저 충전시설 뒤...거꾸로 가는 전기차 확대정책

▲ 한전 경기북부본부 주차장에 있는 전기차 급속충전 스테이션

지난 3월 전기차를 마련해 의정부 용현동서 남양주 마석으로 출퇴근 하는 장모씨(52). 장씨는 퇴근과 함께 집 근처 한전 경기북부지사부터 들린다. 30분 정도면 충전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가 2대가 있기 때문이다.

한번 충전하면 최대 190㎞까지 운행할 수 있지만, 충전을 해놔야 다음날 운행에 안심이다. 다른 차가 충전하고 있을 땐 30-40분씩 기다리고 충전기 앞에 일반차량이 주차해 있으면 주인에게 연락해야 하는 등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롭다. 그래도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전기차를 운행하는 사람 중엔 충전할 곳을 찾아 멀리 원정을 다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의정부시는 올해 처음으로 민간 30대, 관용 15 대 등 모두 45대의 전기차를 보급할 계획이다. 차 값의 절반 정도인 대당 1천900만 원이 국비 등으로 보조 된다. 

현재까지 모두 18대를 신청받아 이미 차량을 양도했거나 심사 중이다.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으로 올해 실적을 봐 내년도 전기차 보급계획을 세우고 지원 국비를 신청할 예정이다. 하지만, 실적이 좋은 편은 아니다. 충전 인프라가 부족해 전기차를 구입한 시민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어 전기차 보급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의정부지역에 설치된 급속 충전기는 한전 경기 북부 본부, 홈플러스 2곳에 불과하고 3~4시간 걸리는 완속 충전기도 신곡1동 사무소 등 몇 곳에 불과하다. 시는 동사무소 등 공공기관에 거점 식으로 설치하려 했으나 주차난을 겪는 상황서 충전시설 공간(1대 주차면적) 확보가 어려워 답보 상태다. 

한전이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신청을 받아 무료로 설치해주는 충전기도 지난해 3차례 신청받았지만, 의정부와 양주지역은 3곳에 불과하다. 충전시설을 하려면 공간이 필요하나 입주자회의의 동의를 받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아파트단지 일반 220V 콘센트에 꽂아 충전할 수 있는 이동형 충전기(사용자 정보가 들어 있는 무선 주파수 인식 태그가 있어 충전기 이용자에게만 요금 부과)를 설치비의 70%(60만 원 정도)를 정부가 보조해주며 권장하고 있으나 보급이 부진하다.

 

장씨는 “전기차를 신청하면서 이동형 충전기를 같이 신청했다. 하지만, 두 달만인 최근에서야 설치사업자 지정을 받았다. 충전시설을 먼저 갖추고 전기차 보급을 확대해야 하는 데 거꾸로 가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의정부시는 백석천 공영지하주차장에 급속충전시설을 설치 중이고 올해 안으로 예술의 전당, 의정부 체육관, 맑은 물 환경사업소 등을 후보지로 선정해 거점별로 충전시설을 갖출 예정이다. 의정부시 관계자는 “충전시설 빼놓고는 전기차에 대한 반응이 좋다.

 

미세먼지 등으로 친환경 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기차에 대한 문의가 많다. 충전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보급에 지장이 없도록 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