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공공기관 사회적 책임경영의 선순환

▲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사회적 가치’를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국정기획위 관계자는 “문재인 대통령이 공공기관을 효율성만 가지고 측정해선 안 되고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야 한다는 법안을 만들었다”며 경영평가 기준이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관행, 환경, 공정운영, 지역사회 참여와 사회적 약자 배려, 양질의 일자리 창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등으로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을 정착시키는 것이 새 정부에서 지향하는 사회적 가치 실현이 아닌가 싶다.

 

근래에 들어와서 공공기관이 지속가능 경영을 위하여 사회책임 표준(ISO26000)의 지침사항을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공기업에서 준 정부기관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나 실질적 이행은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다고 본다.

 

또한 우리 기업들 중에서는 아직도 사업 확장에 무리한 투자와 인력, 자원배치의 잘못으로 파산에 내몰렸던 조선업 등의 공통점은 불투명하고 불합리한 지배구조와 일부 경영총수의 일방적인 결정이 결국 기업성장의 발목을 잡고 있으며 이는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사회적 책임경영이 지켜지지 않은 결과라 판단된다.

 

2014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 120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94.1%가 협력사를 선정할 때 사회적 책임경영이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이는 해외시장을 진출하는 중소중견기업에도 사회적 책임경영 이행여부가 매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반증인 셈이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청이 2015년 중소기업의 사회적책임(CSR)경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 추진율은 50%에 미치지 못했다. 중소중견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실행은 미흡하다는 평가다.

 

필자가 속한 LX한국국토정보공사도 직무적성에 맞는 일자리 창출을 위한 NCS채용, 합리적인 노사관계, 친환경 정책, 지역사회 참여 등 사회적 책임경영의 성과를 인정받아 ‘2015 대한민국 공공기관 지속지수 어워즈’에서 준정부기관 위탁집행형부문 종합 1위를 달성하였다.

 

새 정부에서는 모든 기업이 사회적 책임경영이 중시되어야 한다는 맥락에서 공공기관이 효율성도 중요하지만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에 기여함으로써 일반기업에 모범이 될 수 있도록 선순환적인 역할과 책임을 요구하는 정책적 의지라 판단된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정책들의 성공적인 실현으로 온 국민의 삶의 질이 향상되고 행복지수가 높아져서 진정한 선진국가로 발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김기승 한국국토정보공사 경기지역본부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