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 등 일선 지자체, 해당부서에 행정·무보직 발령
市 “승진기간 차이 커 우선 발령… 교체해 나갈 것”
정부가 늘어나는 복지수요에 대응하고 복지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동사무소 ‘맞춤형복지계’를 확대 추진하고 있으나 안산시 등 일선 지자체가 해당 부서에 관련 공직자를 배치하지 않고 있어 정부의 복지정책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다.
특히, 안산시는 최근 신설된 3급(지방부이사관)을 복지문화국에 배정할 만큼 복지분야에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최근 시행된 인사를 통해 맞춤형 복지계에 대부분 행정이나 무보직 등을 발령, 인사정책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6일 시와 공직사회에 따르면 시는 정부의 복지허브화 정책에 의해 지난 2015년부터 관할 25개 동사무소 가운데 복지수요가 상대적으로 많은 본오1동과 월피동, 와동, 선부3동 등 4곳을 맞춤형 사회복지센터로 시범 운영하면서 단 한 곳도 센터장을 사회복지직으로 발령내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시는 이어 지난 1일 조직개편 시 정부 정책에 따라 복지 사각지대 발굴과 찾아가는 복지 상담, 통합사례관리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해 기존의 복지허브 동사무소를 제외한 9개 동사무소에 맞춤형 복지계를 확대해 시행하기로 했다. 맞춤형 복지계는 1개 동만 관할하는 기본형과 2~3개 동을 관장하는 권역형으로 나눠 운영되고 있으나 이번에 시행된 시의 대규모 인사를 통해 일동과 초지동 등 2곳만 사회복지직을 발령냈을 뿐 나머지는 행정이나 무보직 등을 발령한 상태다.
시는 지난 2015년 당시 “다음 인사에는 복지허브화 동사무소에 사회복지직을 발령내겠다”고 했으나 이번 인사를 통해서도 복지수요가 상대적으로 적은 호수동장을 그대로 유임시켰다. 이번에 맞춤형 복지계를 추가로 신설하면서 사이동의 경우 복지 대상자수가 1만5천310명에 이르는데도 동장이 공석인가 하면 해양 및 반월동을 관할하는 권역형인데도 맞춤형 복지 담당에 행정직을 발령, 복지행정에 역행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갑자기 추진하다 보니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행정 및 사회복지직의 승진기간 차이가 커 행정직을 우선 발령했다. 시간이 지나면 사회복지직으로 교체해 나갈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