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 파산뒤 운영에 역량 집중해야”

사업추진 초기 관계자 등 6명 시의회 조사특위 증인 출석

▲ 선서하는 경전철 조사특위 증인들
▲ 10일 의정부시의회에서 열린 경전철 조사특위에 참석한 증인들이 선서하고 있다. 김동일기자

의정부 경전철사업은 20여 년 전 관선 시장 시절 국책사업으로 추진됐던 것으로 추진과정의 문제점을 따지기보다는 파산한 경전철을 최대한 잘 운영되도록 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증언이 나왔다.

10일 열린 의정부시의회 경전철 조사특위에 증인으로 참석한 김성철 전 의정부시 도시과장은 경전철사업 추진 초기 협상과정 소회를 묻는 김현주 의원의 질문에 이처럼 답변했다.

 

지난 1993년부터 의정부시 도시과장을 지낸 김 증인은 “오래돼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고 전제하면서도 관선인 조영택 시장 당시인 지난 1993년 사업 추진과정부터 신중대 시장 때인 지난 1995년 양주군청으로 발령 날 때까지의 과정을 설명했다.

 

김 증인은 이어 “의정부 경전철은 관선 단체장 시절 추진된 국책사업으로 단체장은 정부 방침에 왈가왈부할 사안이 아니었다”며 “20여 년 전 일을 따져봐야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며 발언을 이어 같다. 

그러면서 김 증인은 안지찬 의원의 질문에 대해서도 “공직사회를 떠나 평범한 시민이 돼 경전철을 이용해보니 정말 편리하고 좋은 교통수단”이라고 강조하고 “과거를 살펴봐야겠지만 기본방향은 파산 뒤 문제를 어떻게 잘 해결하느냐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사특위 위원들의 질문은 주로 사업 초기 관련 부서에 있던 김성철 증인에게 집중된 가운데 지난 2006년 경전철과장을 지낸 김종보 호원권역 국장에게 실시협약체결과정을 묻는 등 이날 참석한 증인들을 대상으로 노선 변경, 장암동 기지창을 서울시에 내주게 된 배경, 트램 등이 유리한데도 경전철을 선택한 이유 등을 물었다.

 

이날 조사특위에는 증인으로 신청한 9명 가운데 김종보 국장을 비롯해 현직 2명, 전직 4명 등 모두 6명이 참석했다. 참고인으로 신청한 팽정광 전 의정부 경전철㈜ 대표는 참석하지 않았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