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오정동 주민들, 공사구간 아파트·학교 인접 반발
부천시 오정동 주민들이 한국전력공사(한전)의 중동변전소~고강변전소 전기공급시설 전력구공사에 대해 전자파 피해 우려 등을 이유로 반발하고 나섰다.
11일 시와 한전, 오정동 주민들에 따르면 한전 남서울건설지사는 오정동과 원종1동 및 오정물류단지 등지에 증가하는 전력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전기공급시설 154KV 전력구공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4월 24일 시의 도로관리심의위에 도로굴착 심의를 요청했다.
공사 규모는 개착 관로공법 3.8㎞와 터널식 공법 1.73㎞ 등으로 다음 달 착공, 오는 2019년 6월 완공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주민들은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자 “2년 전 수도권 서부지역 전기공급시설공사 때는 지중화사업방식으로 지하 50m에서 공사한 반면 이번 공사는 깊이 1.2m에서 도로를 굴착하는 개착식 공사로 전자파 피해가 우려된다”며 반발하고 있다.
시는 이에 “한전은 주민설명회를 열 정도의 공사규모가 아니라는 입장이지만 (주민설명회는) 꼭 필요하다”며 부결시켰다. 시는 주민설명회 개최 후 재상정을 요구했다. 한전은 이에 지난달 13일부터 지난 1일까지 3차례 주민 설명회를 열어 공사 위치와 공법 등 공사 내용과 전자파 기준 등을 알렸다.
그러나 주민들은 개착구간인 봉오대로 인근에 대규모 아파트단지가 위치한데다 D초교와 D고교 등이 인접, 전자파 유해성이 크고 만성적 교통체증을 빚는 봉오대로가 공사로 ‘교통지옥’으로 전락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A씨(38·여)는 “초교와 10~20m 떨어진 곳에서 1.2~1.5m를 파고 초고압선을 매설한다고 설계했다는 자체가 주민들을 무시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전 관계자는 “주민들이 요구하는 공법 변경은 아직 구체적으로 정해진 게 없다”며 “송전선로에 발생하는 전자파는 주파수가 60Hz로 극저주파 전자계로 인체에 축적되거나 유전자를 손상할 만한 에너지가 없다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도 개착공사가 진행되면 공사구간의 레미콘차량 운행이 많아 교통체증이 불을 보듯 뻔하다며 터널방식의 공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