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경제] 폭염 대피소를 대폭 확충하자

▲
지구 온난화 이상기후로 인한 여름철 폭염 대처는 우리생활의 일부가 돼 가고 있다. 연일 언론에서 폭염과 관련된 보도가 이어지고 있고 폭염 대처를 위한 행동요령도 방송에서 종종 보도되는 것을 보면 폭염의 심각성을 새삼 느끼게 된다.

 

최근 서울연구원에서 펴낸 보고서 ‘2016 서울시민의 폭염 경험’을 살펴보면 여름철 폭염은 온열환자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과거보다는 최근에 온열환자가 급증하고 있고, 저소득 취약계층일수록 환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대부분의 시민들은 국민안전처로부터 폭염주의보나 폭염경보 관련 안내문자를 받거나 TV 등 방송을 통해서 폭염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폭염에 대한 인지도는 높다. 하지만 폭염 대비 행동요령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하거나 또는 문자로 외부외출을 자제하라는 권고내용을 받는 수준이 일반적이다. 현실적으로 폭염 정보를 받고 있지만, 폭염일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대처정보가 부족한 것이 문제다.

 

정부나 지자체는 폭염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천 중구청에서는 관내 주요 관광지인 월미도 문화의 거리에 안개분무 시스템 및 주요 교차로 횡단보도 앞에 그늘막 텐트를 설치 · 운영한다. 이들 폭염 쉼터시설들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 설치하기 때문에 경제적 효용가치는 있지만 폭염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계층에게 유용한 시설이다.

 

그러나 폭염 취약계층을 위한 폭염관리는 부실한 것이 현실이다. 폭염취약자들을 위한 대표적인 시설 중 하나는 폭염 대피소(Cooling Center)인데, 서울연구원 보고서에 의하면 설문응답자 중 폭염 대피소를 실제 이용한 시민은 8%에 불과하며 그나마 이용한 장소는 은행과 주민센터이고, 대부분은 시설 위치를 모르거나 이용자들의 연령 차이 때문에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이는 어느 지역에 어떤 종류의 시설이 있는지도 모르지만 알고 있더라도 대피시설을 이용하는데 부담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폭염관리를 위해서는 다수의 국민들이 마음 편히 이용할 수 있는 폭염 대피소가 확충돼야 한다. 다양한 시설에 설치되고 거주지 가까이 있어야 하며 홍보를 통해 시설 위치와 규모 등을 알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어르신들의 경우 이미 폭염 취약계층으로 분류되어 경로당이나 복지관 등에 무더위 쉼터를 지정 · 운영하고 있지만, 다세대주택이나 반지하, 옥탑방, 고시원 등에 거주하는 폭염 취약계층들을 위한 일반 폭염 대피소는 부족하며 지정된 장소 정보도 빈약하다. ‘무더위와의 전쟁’을 벌이는 ‘폭염 난민’이 이용해야 할 시설들을 확충해야 한다. 대규모 쇼핑몰이나 대형마트점, 카페, 도서관 등이 있다고 하지만 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시설 운영시간을 감안해야 한다.

 

무엇보다 공공시설을 대폭 개방해야 한다. 고양어울림체육센터는 여름철 폭염에 대비해 관내 고양어울림누리 빙상장 시설물을 활용하고자 무더위 쉼터를 개방하여 폭염에 취약한 노약자뿐 아니라 일반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한다고 한다. 이외에도 교육시설, 종교시설, 대규모 민간시설 등의 협조를 통해 한시적이라도 많은 무더위 쉼터 시설을 확보해야 하며, 시설이용에 따른 경제적 부담은 정부나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실행해야 한다.

 

폭염은 재난과제이지만 저소득 취약계층, 폭염 취약계층 등을 포함한 우리 모두에게는 여름을 이기기 위한 생존 과제이다. 한층 더 강렬해진 폭염을 보면서 정부나 지자체의 손길을 기다리는 계층이 많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문영규 경복대학교 복지행정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