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이후 공공기관 이전공백
지식기반 서비스산업이 대체
매출 수직상승… 지역성장 주도
23일 시가 최근 분석한 ‘2015년 기준 경제 총조사로 본 산업 변화와 시사점’에 따르면 공공기관 이전이 시작된 지난 2010년 이후 5년간 소프트웨어, 정보서비스, 연구개발업 등 지식기반서비스산업이 큰 폭으로 증가해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해 지역경제 공백을 대체하면서 지역성장을 주도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사업체 총매출은 지난 2010년 66조 원에서 5년 만인 지난 2015년 100조 원으로 수직으로 상승했다. 이는 대기업 사업장이 없는 중소기업형 산업구조를 갖춘 전국 기초 지자체 중 가장 높은 매출액과 성장률 등을 기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때 시는 ‘국가균형발전 특별법’에 따라 한국토지주택공사, 한국도로공사, 한국가스공사, 한전KPS, 식품연구원 등 공공기관 5곳이 지난 2012년부터 이전이 예정돼 지역경제에 빨간불이 켜졌다.
성남산업진흥재단이 수행한 공공기관 이전과 관련된 지역경제 파급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용 감소 1만9천471명, 총생산액 최대 2조8천억 원 감소 등의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2015년 경제 총조사(올해 6월 확정분 발표) 분석 결과, 이 같은 우려는 완전히 해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업종은 지난 2010년 대비 사업체 62.0%, 종사자 수 84.2% 등이 늘었고 매출액은 12조 원으로 213.5% 증가하면서 전국 매출액 증가율과 대비해 3.9배 늘어 성장을 주도했다.
시가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공공기관 이전 이후에도 높은 지역성장 성과를 달성할 수 있었던 건 ▲시와 산업진흥재단의 ICT, 게임콘텐츠 산업 등 첨단산업 육성정책 시행 ▲기업환경 인프라에 지속적인 투자와 매년 200억 원 규모의 외부 자원 유치 노력 ▲판교 및 분당벤처밸리를 거점으로 선도 기업의 유치 전략 등이 통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 지난해 시민 지역 내 취업비율이 처음으로 55.5%를 돌파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민선 5기 들어서며 지역 산업정책은 일자리에 중심을 두고 첨단과 전통산업을 균형적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방향으로 전환했다. 시민에게 안정적인 일자리와 더불어 스마트 행정, 따뜻한 맞춤형 복지를 시행할 수 있는 자주재원 1조5천억 원 확보라는 목표 달성에 매진하겠다”고 밝혔다.
성남=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