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에는 관(冠)을 쓰고 있고, 관 사이로 나온 머리카락은 어깨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얼굴은 표정이 사라져 매우 삭막해 보이며, 신체는 머리에 비해 작게 표현되어 비례가 맞지 않는다. 통나무를 깎아 조각하여 보살상을 만들고 양손은 따로 끼워 넣었다. 그러나 왼손은 없어진 상태이다. 상의 여러 군데에 금칠을 하였던 흔적이 보인다.
이처럼 목조보살좌상에 표현된 특징들로 보아 조선시대에 들어 불상조각이 신앙심을 불러일으키는 예배 대상이기보다는 맹목적인 존경의 대상으로 변질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평면적인 신체 구조와 간략화된 옷주름, 두꺼운 불의 그리고 순박하면서도 정감 넘치는 얼굴 모양 등은 전형적인 조선시대 불교 조각의 특징을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문화재청 제공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