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소비자의 책임을 다하자

%EC%86%A1%EB%AF%B8%EC%98%81.JPG
우리 주변에는 늘 사용하는 화학물질들이 너무도 많다. 이들이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지 못해도 국가가 알아서 위험은 제어해주면 좋겠다는 게 일반 시민들의 마음일 거다. 화학물질은 사용 전에 독성을 파악하여 사용처나 사용방식을 정하지만 우리가 고려하고 제도화할 수 있는 부분이 생각보다 좁다. 

어린이나 민감한 이들은 더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어 안전에 신경을 써야만 한다. 또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에 포함된 물질들은 그 영향이 적지만 오래 사용한다면 더 엄격한 안전기준과 사용방식이 고려되어야 한다. 가습기 피해부터 생리대와 요가매트 등 최근 불거지고 있는 각종 유해물질 논란이 더욱 일상화되는 이유이다. 

 

대부분 시민들은 화학물질 성분 표시나 그 유해 정도를 알지 못하지만, 사는 집에서부터 사용하는 목욕용품까지 우리는 화학물질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그래서 소비자들은 이들 제품의 생산 업체와 이를 관리 감독하는 국가가 상식선에서 최선을 다해주길 희망한다. 

이미 조사된 자료를 토대로 위험 물질들이 사용되지 않도록, 해당 물질들이 불법적으로 사용되지 않도록 충실히 감시해주길 기대한다. 그런데 뭔가 문제가 생겨나면 소비자인 우리는 달걀 파동에서와 같이 그 유통기준이 산란일이 아니라는 새로운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상식선에서 국가 정책이 결정되고 그 기준이 생산자, 소비자 모두에게 합리적이고 이해 가능할 거라는 신뢰가 무너지고, 불신이 깊어진다. 

 

▲
복잡한 이해관계를 생각해보면 소비자인 우리도 우리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 소비자에게는 상품을 올바르게 선택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며, 필요한 권리를 정당하게 요구할 책임이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습득하기 위해 노력하고, 상품 구입 시 가격과 품질 등을 꼼꼼히 살펴볼 의무가 있다(소비자기본법의 소비자 책임).

 

소비자가 변해야 국가가 좀 더 면밀한 책임 관계를 설정하고, 생산자도 자기 역할에 충실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제품 표기사항을 확인하고 사용법을 이해하며 안전하게 사용해야 한다. 제품이 안전한지 확인하기 위해 알아야 할 정보가 표시되지 않았다면 당당히 제품 성분이나 안전 정보를 요청하는 노력도 마다하지 않아야 한다. 

광고가 상품 선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대에 무독성, 무자극 등을 친환경적 특성으로 속여 허위 과장하는 ‘그린워싱’에도 현혹되지 말아야 한다. 친환경 마크는 우리와 지구를 위해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하는 것이지만 건강에 안전하다는 보증이 아니라는 것도 확실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똑똑한 소비자다.

 

송미영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