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회 ‘기부의 날’ 성료] 성금 모금하고… 일일찻집 열고… 나눔으로 하나된 안양

기증품 경매·축하공연 등 다양한 이벤트… 6천700만원 모아
5천만원 이상 기부 22개 기관에 ‘굿-리더 소사이어티 패’ 전달
나눔문화 확산 위해 기부계단·신용카드 기부 시스템 등 운영

▲ 기부계단 오픈
▲ 이필운 안양시장(앞줄 왼쪽에서 두번째)이 지난 6월 어린이들의 손을 잡고 안양시 만안구 만안로 232에 설치된 ‘기부 계단’을 내려가고 있다. 이 계단을 이용하면 1명당 10원이 기부금으로 적립돼 어려운 이웃들에게 전달된다. 안양시 제공
안양시는 최근 열린 안양시 기부의 날 모금행사를 통해 6천700만 원이 넘는 성금이 모였다고 8일 밝혔다.

 

37개 기관이 참여한 이번 기부의 날 행사는 안양시나눔운동본부의 나눔문화캠페인과 나눔문화공모전 당선작 전시와 함께 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중심으로 기부박람회(모금캠페인, 바자회, 일일찻집, 농수산물직거래장터 등)를 개최했다. 

착한가정가입자 전달판 전달, 기증물품 경매, 축하공연 등 다채로운 이벤트가 열려 비가 오는 가운데서도 안양시민들의 자율적 참여가 줄을 이었다.

 

이어 기부의 날 기념식에서 안양시 기부의 날 제정 이후 2년 간 5천만 원 이상을 기부한 기업인 엘에스, 한라홀딩스, 인탑스 등 22개 기관에 굿-리더 소사이어티 패를 전달하고 기부문화 확산 유공자와 나눔문화 조성 공모전 당선자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안양시 기부의 날’은 지역에 기부 유공자 뜻을 기리고 나눔과 배려의 정신을 확산시키자는 취지에서 시가 지난 2014년 11월3일 첫 제정했다.

 

기부의 날이 된 11월 3일은 故 전재준 삼정펄프 회장이 350억 원대 달하는 공장부지(당시 삼덕제지) 기증의사를 밝혀 시 소유로 등기이전된 날이다. 이 부지는 현재 시민들의 편안하고 쾌적한 휴식공간인 삼덕공원으로 변모해 있다.

 

한편 안양시는 기부의 날은 물론 나눔문화 확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6월 19일 경기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안양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등과 업무협약을 맺고 민-관 협력기구인 ‘안양시 나눔운동본부’를 설치해 지난 9월부터 운영 중이다.

 

‘나눔운동본부’는 후원자 발굴과 기부금품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이를 통해 조성된 기금으로 법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에게 생계비, 의료비, 교육비, 난방비 등을 지원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한 사업을 수행한다.

 

또한 지난 6월 28일 안양역사(만안구 만안로 232)에 기부 계단을 오픈했다. ㈜효성의 기부와 코레일 안양역이 맺은 업무협약의 결실로 시민들이 에스컬레이터 대신 계단을 이용하면 1명당 10원이 기부금으로 적립되며, 기부금은 ㈜효성 직원의 급여 나눔으로 조성된다.

 

기부계 단은 사진·컴퓨터 등을 융합하여 생명학적 생명(나비)을 표현하는 멀티미디어 아티스트 김현정 나비 작가의 작품으로 ‘애벌레에서 나비로 변화하는 과정이 부활을 상징하는 것처럼 안양시가 4차산업 시대에 나비처럼 아름다운 생명의 도시로 부활하기’를 형상화했다.

 

기부계다 옆쪽엔 누적 이용자와 적립된 기부금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전광판이 설치되며, 차곡차곡 쌓여가는 기부금을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소액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터치식 카드 기부 단말기 ‘기분 좋은 터치, 십시일반’을 제작해 각 동 주민센터 등 시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장소나 각종 행사 시에 설치ㆍ운영한다.

 

터치식 카드 기부 단말기 ‘기분 좋은 터치, 십시일반’은 시민들이 버스나 지하철을 탈 때처럼 카드를 터치하면 결제가 되는 방식(RF)으로 단말기를 통해 시민들이 신용카드로 간편하게 기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한 번 태그 시에 1천 원이 기부되며, 기부 금액 변경도 가능하다.

  

이필운 시장은 “온정을 보내준 모든 시민들께 감사의 인사를 전하며, 나눔문화를 확산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안양형복지를 실현해 시민이 더 행복하고 단 한 분의 소외된 이웃도 발생하지 않는 따뜻한 안양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 인탑스 행복나눔 1004박스
▲ 인탑스 행복나눔 1004박스
▲ 콜센터 및 나눔운동본부 개소식
▲ 콜센터 및 나눔운동본부 개소식

안양=양휘모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