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4천억 재원 조달 청사진 발표 지원 특별법 제정 지속적인 촉구
정부 도시재생 뉴딜사업과 연계 차량 주변 도로 분산 혼잡 최소화
인천시가 경인고속도로 일반도로화 사업과 관련해 다양한 재원마련 계획과 교통대란 대책을 내놨다.
시는 4천억원에 달하는 총 사업비를 기본적으로 자체 재원(2천648억원)과 가좌IC 유휴부지 등 가용토지 활용(1천120억원), 2호선 역세권 용도지역 변경을 통한 기부채납(240억원) 등의 방식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시는 국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시는 국회 상임위에 계류중인 경인고속도로 일반화 지원 특별법 제정을 지속적으로 촉구함과 동시에 국토부의 입체도로제도와 문재인 정부 공약인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과 연계해 국비를 마련키로 했다.
입체도로제도는 대규모 도로가 관통하는 구도심에서 도로 상부와 하부(지하) 공간을 활용하는 복합시설 민간개발을 허용, 낙후된 주변 지역을 활성화하는 것으로 공모에 당선되면 국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또 도로 주변 원도심을 9개 생활권으로 나눠 추진하는 도시재생사업의 경우 정부의 도시재생 뉴딜사업공모를 적극 활용키로 했다.
시는 공사기간 동안 극심안 정체가 예상되는 등 교통대란 대책도 마련했다. 시는 단기적으로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김포 고속도로, 중봉대로 등 주변간선도로 등으로 교통을 분산 조치하고 고속도로와 주변도로는 물론, 시내곳곳에 고속도로 일반도로 전환과 차량속도 감속(시속 100㎞→60∼80㎞)을 담은 현수막을 게시할 예정이다.
시는 중장기적으로 경인고속도로 서인천IC~신월 9.97㎞ 구간에 대해 지하 6차로 고속도로를 만들고 지상의 8차로는 일반도로로 전환하는 한편, 제2경인고속도로 문학IC~ 검단신도시 18.2km 구간에 지하고속화도로를 추진키로 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