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를 할 때 극심한 불안으로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습니다. 이는 누구나 경험하는 가벼운 불안이 아닌, 정상적인 수행을 방해하고 스스로에게 고통을 주는 불안입니다. 이러한 증상을 발표불안이라고 합니다. 발표불안은 수행불안(performance anxiety)의 일종으로 사회공포증(social phobia, social anxiety disorder)의 한 형태입니다. 사회공포증은 당혹감을 줄 수 있는 특정한 사회적 상황, 즉 낯선 사람들로부터 평가받는 상황을 지속적으로 두려워하고 회피하거나, 회피할 수 없는 경우엔 즉각적인 불안반응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발표불안은 기질적으로 행동위축과 같은 소인을 가지고 태어났거나, 완벽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납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이고 돌봄이 부족하거나, 이와 반대로 지나치게 과잉보호적인 경우 발표불안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이외에도 생물학적으로는 자율신경계의 과잉활성화나, 신경전달물질의 이상으로 발표불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발표불안을 완화시키는데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치료가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인지행동치료는 왜곡된 인지를 교정해주는 인지치료와 행동치료의 일종인 노출치료가 가장 효과적입니다. 이와 관련해서 실생활에서 쉽고 빠르게 불안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드리겠습니다. 바로 ‘호흡이완법’입니다.
호흡이완법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쉽고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 불안 완화법으로써 호흡을 통해 신체근육을 급속하게 긴장시켰다가 이완시킬 수 있는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먼저, 숨을 깊이 들이 마십니다. 한 번에 천천히 깊게 숨을 들이 쉬면서 신체를 긴장상태로 만듭니다. 이때 숫자를 1부터 5까지 세도록 합니다. 그런 다음, 숨을 들이 마신 상태로 멈춰서 1에서 2까지 센 후, 숫자를 1부터 5까지 세면서 숨을 천천히 깊게 내쉬어 신체근육이 이완됨을 느껴봅니다. 들숨, 잠깐 멈추기, 날숨을 3회에서 5회 정도 반복합니다. 눈을 감고 호흡이완법을 실시하면 집중이 더 잘 되어 조금 더 높은 이완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풀기 어려운 고민거리나 심리적 어려움이 있으시면 언제든 수원시청소년상담센터(031-212-1318, www.syf.or.kr)로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문민경 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청소년상담센터 상담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