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접2지구 강제수용 백지화를” 대책위, 김한정의원 사무실앞 집회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개최한 뒤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며 길거리 행진을 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개최한 뒤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며 길거리 행진을 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남양주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대책위)가 시의회 건의문을 번복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을 향해 ‘윗선 눈치보기’라고 반박하고 나선 가운데(본보 12월1일자 10면) 수용반대 총집회를 개최하며 연일 반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다.

 

대책위는 지난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남양주을) 지역사무실 앞에서 총집회를 열고 진접제2지구 조성사업과 관련 ‘강제수용 백지화’를 또다시 촉구했다. 대책위 소속 위원이자 진접 주민 및 지주 150여 명은 이날 김 의원의 토크콘서트(의정보고회) ‘한정씨, 할 말 있어요’ 시간에 맞춰 같은 주제로 집회를 전개했다.

 

이 자리에서 대책위는 호소문을 통해 “진접2지구는 서울 사람을 위한 베드타운 건설에 불과하다. 자족도시 또는 남양주 시민 전체를 위한 도시기반 시설은 일체 없다”면서 “임대건설아파트는 기존 지역의 부동산 가격을 하락시키는 것은 물론, 국책사업(행복주택)을 앞세워 헐값에 땅 빼앗아 집장사 시켜주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고 목청을 높였다. 

또한 “주민 모르게 진행된 사업에 지주 95%가 반대하고 있는데도 해당 지역구 의원은 전혀 소통하지 않으며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며 “국토부는 지구지정을 당장 취소하고 지역구 의원은 즉각 면담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집회 이후 김 의원 사무실을 방문, 서한문을 전달한 뒤 인근 1㎞ 구간에서 피켓과 현수막을 들고 길거리 가두행진을 이어갔다.

 

조동일 대책위원장은 “지난 10월 신도시 공식 발표 이후 농민들은 편히 잠든 날이 없었다. 손톱이 다 빠지도록 농사지은 죄밖에 없는데 강제수용이 말이 되느냐”며 “지역 실정도 모르고 한 공약 발표는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경찰은 이날 만약의 사태에 대비 50여 명의 인력을 동원했지만, 양 측간 마찰은 발생하지 않았다.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열고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1)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열고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열고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6)
▲ 9일 오후 남양주시 진접읍 김한정 국회의원 지역사무실 앞 도로에서 ‘진접제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가 총 집회를 열고 ‘강제수용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하지은기자

남양주=하지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