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잎은 소엽종 중엽종 대엽종으로 구분되는데 우리나라와 일본은 소엽종, 대만은 중엽종, 중국은 위도에 따라 대중소가 있다. 보이차(푸얼차)는 대엽종의 찻잎을 쇄청(햇볕에 쬐어)건조시킨 모차를 발효시킨 산차(散茶)와 긴압차(緊壓茶)‘로 구분한다. 산차란 찻잎을 뭉치지 않고 우리나라의 녹차처럼 그냥 흩어놓은 차를 말하고 긴압차란 찻잎을 둥글고 납작한 빈대떡처럼 만든 병차(餠茶), 공이나 벽돌 형태, 혹은 버섯 모양으로 딱딱하게 뭉쳐 놓은 차를 말한다.
보이차는 또 제다 방법에 따라 크게 생차(生茶)와 숙차(熟茶)로 나눈다. 차를 완성할 당시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으로 만든 차는 생차, 발효된 찻잎으로 만든 차는 숙차다. 전통적인 보이차는 생차를 장기간 제대로 보관, 서서히 발효시켜 보이차 다운 맛과 약효를 얻어냄으로 값이 높다. 가짜보이차란 묵힌 시간이 오래되었다고 그 기간을 속인다는 말이지 보이차가 아닌 것을 보이차라고 거짓말하는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정조代에 태어나 고종代(81세)에 입적하신 초의 장의순(1786~1866)은 우리나라 차(茶)의 경전으로 불리는 동다송(東茶頌) 남겼다. 東國所産元相同(우리나라 차나무는 원래 중국과 같다) 色香氣味論一功(색과 향기와 맛의 효능이 일등공적이다). 보이차와 녹차는 결코 그 근본이 서로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식당에 가면 배추김치가 나온다. 국내산과 수입김치, 선택은 자유다.
강성금 수원화성예다교육원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