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이 자족도시가 되려면 부천과 김포, 시흥시 등과 통합해 500만 메가시티로 거듭나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교흥 국회 사무총장은 지난 25일 인천경영포럼 조찬강연회에 강사로 나서 “인천시가 자족도시가 되려면 인구 300만 명으로는 부족하다며 500만 명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인천시가 500만 명 시대를 열려면 인근 부천시와 김포, 시흥시 등 주변도시를 통합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인천시를)메가시티로 만들어야 경쟁력이 있고 1천350만 명의 경기도도 좋고 인천도 좋은 상생방안”이라며 “지역주민의 의사와 소통이 필요하고 최고 지도자의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사무총장은 “세계도시를 연구해보면 인구 500~1천만 도시가 가장 경쟁력이 있다”면서 “인천 부평과 인접해 있는 부천시, 서구와 인접해 있는 김포시, 남동구와 인접해 있는 시흥시를 인천시로 편입시켜 500만 메가시티의 특화된 도시를 만들면 어떤 도시와 비교해도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주장에 대해 김만수 부천시장은 “전 송영길 인천시장 시절 논의해 단체장 모임도 한 적이 있었다”면서 “현재 법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법 개정이 돼야 하고 경기도나 인천시가 폐지된다면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시장은 “취지는 긍정적이지만 실현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다.
강동구 부천시의회 의장도 “지역 간 행정구역 통합은 정치적 논리로 주도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며 “부천이나 김포는 각 지역이 지닌 역사성과 장기적 과제들이 산재해 있어 시민적 공감대와 동의가 전제되지 않으면 안된다”고 밝혔다. 강 의장은 이어 “무슨 일이든 절대 다수의 시민이 찬성하면 당연히 시민의 뜻을 따르는 게 민주주의 기본”이라며 시민적 공감대가 형성되면 가능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인천 입장에서 단순한 몸집 키우기 외에 장점도 없고 구체성도 갖지 못해 일고의 가치가 없다고 일축하고 있다.
이 같은 지적에 대해 김 사무총장은 “인근 지자체와의 통합은 자치단체장들의 반대가 있을 수 있어 지역주민의 의견 수렴절차가 필요하다”고 강조한 후 “인천시장에 출마하면 공약으로 내세울 계획”이라고 밝혀 부천시와 김포, 시흥시의 인천 통합론이 오는 6ㆍ13 지방선거의 이슈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부천=오세광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