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규 인력 채용 앞두고 외부인사 서류심사·면접 참여
공정·투명성 높이려 신중모드
정부와 경찰의 채용비리 수사가 아직 채 마무리되지 않은 시점에서 직원 채용 과정 중 자칫 ‘잡음’이 나올 경우, 비난의 화살이 한곳으로 쏠릴 수 있어 기관별로 공정한 채용을 위한 이중삼중의 노력을 하고 있다.
12일 행정안전부와 경찰 등에 따르면 최근 행안부는 경기도 내 9개 공공기관에서 채용비리 혐의를 포착하고 경찰에 수사를 의뢰했다. 또 경찰 역시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공공기관 인사·채용비리 특별단속’을 실시, 도내에서만 39건의 채용비리를 포착하고 사건에 연루된 150여 명에 대해 수사를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사정 당국이 공공기관 인력 채용과정에 대해 예의주시하면서 2018년도 신규 인력 채용을 해야 하는 공공기관들이 채용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먼저 공공기관 채용비리를 막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공공기관 통합공채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는 지난 9일 도내 공공기관장 회의를 갖고 직원 채용 제도 보완점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도와 공공기관은 그동안 기관별 자유로 맡겼던 필기 통과자 배수(3배수, 4배수 등)를 통일 시키기로 했다. 면접대상자가 너무 많으면 면접 과정에서 실력이 부족한 지원자들이 특혜로 채용될 수 있는 소지가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또 그동안 정규직 신입직원에 대해서만 통합공채 시험을 실시해 오던 것을 계약직 직원에게까지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도는 오는 4월 초 실시되는 2018년도 상반기 통합공채(60여 명 선발예정)부터 이 같은 내용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일선 시ㆍ군 역시 채용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에 몰두하고 있다.
안양시는 최근 인사채용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TF팀을 구성, 산하기관에 대한 채용절차 개선방안 마련에 착수했으며 고양시는 산하기관 직원 채용에 외부심사위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수원시 역시 채용과정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 마련에 고심 중인 가운데 최근 출범한 수원도시공사는 지난달 경력직 직원 3명을 채용하면서 서류심사부터 면접까지 전부 외부인사가 진행해 투명성을 높였다.
A 기관 관계자는 “지금은 아주 작은 실수라도 나오면 곧바로 ‘채용비리’로 몰릴 수 있어 직원 채용 과정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며 “인력 채용이 조금 늦어지는 단점이 있지만 채용비리로 의심받는 것보다는 낫다”고 말했다.
지방종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