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와 충남 당진시가 행정구역 경계에 이어 평택ㆍ당진항(이하 평당항) 연륙교 건설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22일 평택대학교에서 전문가와 공무원, 시ㆍ도의원, 예비후보, 주민 등 4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평택·당진항 연륙교를 말하다’ 공개 토론회가 열렸다.
이동현 평택대 교수가 토론회 좌장을 맡았으며, 홍원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 최동희 평택시 항만지원과장, 신승식 전남대 교수, 김근섭 KMI 항만개발연구실장, 김찬규 평태항수호범시민운동 상임 공동대표 등이 토론자로 나와 열띤 토론을 벌였다.
홍원식 평택지방해양수산청장은 평택 내항과 당진 신평간 3.1㎞을 바닷길로 연결하는 연륙교(왕복 2차선)를 실시설계 등을 끝낸 뒤 오는 2021년 착공할 계획이라고 연륙교 추진상황을 설명했다.
그동안 평택시는 “정치 논리로 왕복 4차선 바닷길을 2차선으로 축소해 건설하는 것은 안된다”는 주장이었고, 당진시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면 무조건 건설하는 것이 지역에 유리하다”는 입장이다.
최동희 평택시 항만지원과장은 이날 “2030년 매립 완료 예정된 지역에 2020년에 연륙교를 연결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4차선으로 계획된 연륙교를 2차선으로 축소해 건설할 경우 환경피해와 국가 예산 낭비 등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김찬규 평태항수호범시민운동 상임 공동대표는 “길이 3.1㎞의 연륙교를 2차선으로 축소하는 것은 바닷길을 산책로나 자전거 도로로 건설하는 수준”이라며 “2차선으로 개통되면 극심한 교통체증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좌장을 맡은 이동현 평택대 교수도 “매립도 안된 곳에 연륙교를 서둘러 연결할 경우 정부의 예측과 달리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고, 이런 사례는 우리나라 여러 항만에서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의 잘못된 정책을 꼬집었다.
반면 평당항에서 발전시설을 운영하는 조원진 GS글로벌 SOC팀장은 “화물이 20㎞를 우회하는 바람에 연간 13억여 원의 운송비가 추가로 소요되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 연륙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로 나온 신승식 전남대 교수와 김근섭 KMI 항만개발연구실장은 “일단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통과되면 무조건 수용한 뒤 잘못된 부분은 추후 바로잡는 게 현명하다”고 밝혔다.
한편, 평당항 연륙교는 정부가 지난 2016년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비용편익비율(B/C)이 0.76으로 나와 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나오자, 4차선을 2차선으로 줄여 건설비를 줄이는 방법으로 재조사를 통해 사업타당성(1.36)을 확보했다.
평택=김덕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