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살아오면서 가장 잘한 것은 아이가 간절히 소망하는 꿈을 펼치도록 인정·격려해 준 것이다. 아이가 대학을 졸업할 즈음에 취업을 포기하고 공연예술을 공부하겠다고 하였다. 이게 무슨 날벼락인가. 대기업 취업이 보장된 것인데, 안정된 직장을 포기하고 새로운 길을 간다는 것이 나에게는 무척 충격적이었다.
공학을 전공하고 예술 분야로 가겠다는 것도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아이에게 몇 가지 확인과 다짐을 받았다. 학비는 어떻게 충당할 것인지. 예술인의 삶이 고달프고 배고프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감당할 자신이 있는지. 정말로 간절하게 원하며, 이 일로 행복해질 수 있는지 등등….
새롭게 배우는 과정, 공연 관련된 일을 하면서 싫거나 힘들다고 말하는 것을 듣지 못했다. 자신이 간절히 하고 싶은 일을 해서 그런지 표정도 밝아졌고 행복해한다. 이제는 꿈 너머 꿈 ‘사회적 갈등을 넘어 화합’이라는 과제를 공연으로 풀어보고자 외국으로 공부하러 간다. 두렵고 힘든 것을 무릅쓰고 새로운 꿈에 도전하려는 용기에 박수를 보내지만, 부모로서의 안타까움은 지우기가 어렵다.
사람의 영혼은 꿈을 잃을 때 죽는다고 한다. 사람은 자기가 하고 싶은 일, 이루고 싶은 일을 할 때 몰입하게 되어 행복을 경험한다. 꿈을 가꾸는 교육이 바로 행복 교육이다. 건강한 청소년, 행복한 시민 육성을 위하여 교육감과 도지사가 함께 한다면, 경기도민이 마을·지역에서 배우고 싶은 것을 마음껏 배우고, 가르치는 꿈의 마을학교 만들기는 현실로 성큼 다가올 것이다.
김한호 한국교원대학교 박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