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형 시스템으로 ‘복지행정서비스 높인다’

▲ 의정부시청사 신관

의정부시는 노인 및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는 복지업무 전용공간을 갖추는 등 ‘의정부형 복지행정시스템’을 구축했다.

 

5일 시에 따르면 최근 지상 4층, 연면적 3천867㎡ 규모의 신관 청사를 준공했다. 신관은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 녹색건축물, 에너지효율 우수등급 인증 등을 받았다.

 

특히 신관 1층에는 노인장애인과, 2층은 회의실ㆍ교육장, 3층은 복지정책과ㆍ여성가족과ㆍ보육과ㆍ문화관광과ㆍ체육과, 4층은 체력단련실ㆍCCTV 통합관제센터가 들어선 있는 등 복지업무 전용공간으로 조성했다.

 

이는 노인 및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가 청사를 이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배려하고 직원, 부서 간 소통과 협조를 통해 신속한 복지 민원 처리 등 효율적인 복지행정을 위한 사무실 배치다. 이른바 의정부형 복지행정시스템이다. 시가 14개 동을 4개로 권역화해 중심 동에 복지지원과를 신설하고 생활밀착형 복지를 위해 복지허브화를 추진한 지 1년 만이다.

 

시가 이같이 지역복지환경에 맞는 효율적인 조직 운영과 전담공간 마련 등 근무환경개선에 나선 것은 사회복지분야 비중이 해마다 커지지만 조직과 인력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시는 전국 지자체 중 사회복지분야 비중이 높은 도시 중 하나다. 올해의 경우 기초생활, 취약계층지원, 보육ㆍ가족 및 여성, 노인 등 8개 사회복지분야 예산이 일반회계기준 3천803억 원으로 전체(7천590억 원)의 50.1%에 이른다. 2011년 37.2%에서 불과 7년 사이 12.9%로 급상승했다. 이같은 현상은 앞으로도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복지분야 비중이 높은 데는 총 인구 대비 기초생활수급자가 타 시ㆍ군에 비해 월등히 높아 국ㆍ도비 보조사업의 시비 부담이 높은 점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시 18만 1천여 가구 중 5.5%인 1만여 가구가 기초생활수급자다. 

 

반면 전체 1천186명의 공무원 중 사회복지업무담당 공무원은 230명으로 19% 정도다. 그나마 사회복지사는 119명에 불과하다. 2011년 964명 공무원 중 14%인 137명일 때와 비교해 다소 늘었다. 하지만, 늘어나는 사회복지 수요에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조경심 시 복지정책팀 주무관은 “이번 신관의 복지업무 전용공간화는 일선 주민센터와 시청의 복지담당 1인이 처리하는 업무량을 고려했을 때 효율성과 능률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