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사고의 발생 공통점은 경기도 외각 지역에 위치한 도농복합지역이라는 것이다. 교통안전 관련 인프라는 취약한 반면, 공장 신설 등으로 인해 생산유발요인 증가, 급격한 인구유입 등으로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으나 별도의 대책이 없다는 것이 더 심각한 문제다.
해당 지역이 개발되면서 도로 확장과 더불어 교통량이 증가되면 교통 및 도로시설도 함께 설치되어야 하지만,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개발이 끝나고 한참 지난 이후에야 마련되고 있는 처지에 있다. 경기도 대표적인 도농복합지역인 평택시, 화성시의 교통사고 사망자 현황을 살펴보자. 2017년 1~10월까지의 사망자 수를 전년 동기와 비교하였을 시 평택시는 10명(16년 37명→17년 47명), 화성시는 21명(16년 37명→17년 58명) 각각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경기도 도농복합지역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과제를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할까.
첫째, 별도의 고령자 교통안전대책이 필요하다. 농촌과 도시지역이 함께 공존하는 관계로 전체 인구 중, 고령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보다 법ㆍ제도를 강화하여 시스템적이고 체계적으로 교통안전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특히 고령자의 비율이 높은 만큼 고령자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노면표시 및 교통표지판 설치’, ‘안전지팡이 등 용품 지급’, ‘고령자를 배려한 운전문화 활동’ 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셋째, 농기계 사고 감소대책이 필요하다. 도농복합지역은 농촌지역이 많아 도로 폭이 좁고 어두워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해당 지역은 도로 가로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해가 지고 난 후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농기계 이동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휘도 후부반사지를 부착해야 하고, 도로 주변상황을 밝게 비출 수 있도록 가로등을 확대설치해야 할 것이다.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교통안전과 관련된 자원(예산ㆍ인력)을 선순환적으로 투입해야 함은 물론이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도민들의 교통안전의식이다. 운전자는 “설마 보행자가 나올까 하는 생각에”, 보행자는 “차량보다 내가 먼저 갈 수 있겠지”라는 생각에 교통사고가 계속하여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김영철 한국교통안전공단 경기남부본부 안전관리처 차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