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안전한 농산물 가려 먹고 싶다고요”

이수열
이수열

우리 식구들에게 안전한 농산물을 골라서 먹게 하고 싶다고요? 그렇다면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 제도를 들어보셨나요?

농업인과 GAP에 대해 이야기 하다 보면 농업인들은 “농약ㆍ비료를 적게 쳐서 생산량은 줄어든다. 물ㆍ토양 검사와 위생 수준을 지켜 선별ㆍ포장해야 하는 등 할 일은 많은데, 그 노력한 만큼 가격으로 보상을 못 받는다” 등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그러면 소비자는 어떻게 생각할까? “GAP 그게 뭐지?”, “GAP 농산물! 마트 가도 없던데, 있어야 사먹지” 등의 의견이 있다.

이 GAP 인증은 소비자에게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식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농산물의 생산부터 수확 후 관리 및 유통단계까지 농산물에 잔류할 수 있는 농약·중금속 또는 유해생물 등 위해 요소를 합리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즉, 오염되지 않은 토양에서 농작물을 재배하고, 깨끗한 물을 사용해 농작물을 재배하도록 한다. 작물보호를 위해 사용하는 농약은 안전사용 기준을 준수하고, 인증기준에 따라 적정한 비료사용 등을 통해 농작물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한다. 또한 농장에서 발생하는 쓰레기ㆍ폐기물의 안전한 처리, 농기계 및 농기구의 청결유지, 위생적인 수확 및 포장 작업 등을 지키도록 한다. 이를 담보하기 위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농관원)에서는 GAP 인증기관 및 농가가 준수해야 할 사항을 잘 지키고 있는지 확인(모니터링현장점검 및 잔류농약 검사 등)을 통해 부적합 GAP인증품이 유통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 제도가 도입된 시기는 2006년으로 10년이 지났으나 아직 소비자 인지도가 낮은 것이 현실이다. 정부 홍보와 더불어 생산자의 소비자를 중시하는 인식전환과 조직화가 절실하다.

▲

 지난 5월 OO마트 서울점과 GAP 인증 농산물 소비확대 MOU를 체결했다. 이곳의 농산물 구매 담당자는 농산물의 품목 수와 물량이 많지 않아 소비확대에 걸림돌이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필자도 우선 ‘물건이 있어야 물건을 사고자 하는 사람의 선택을 받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그게 맞다면 현재의 농업소득도 중요하지만 긴 안목에서 소비자생산자가 서로 윈윈하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농가에 대한 교육과 조직화 등 GAP인증 농산물의 생산 확대를 최우선 해야 하지 않을까?

현재는 GAP농산물이 대중화가 되어 있지 않아 GAP 인증품을 많이 접할 수 없지만 앞으로 대형마트 및 동네 농산물 판매장에서도 소비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GAP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고, 농가의 소득에도 도움이 되는 그날이 오기를 기대한다.

 

이수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기지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