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먹거리 전략 올 연말까지 수립…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 위해

▲ 1.경기도청전경
▲ 경기도청전경

 

경기도가 안전한 먹거리를 지속 가능하게 생산ㆍ유통ㆍ소비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도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기도 먹거리전략’을 수립,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을 보장한다는 복안이다.

 

도는 먹거리전략을 준비할 ‘경기도 먹거리위원회’ 최종 위촉직 위원을 오는 29일까지 모집한다고 22일 밝혔다. 위원회는 이번에 모집될 위촉직 위원 30명을 비롯해 50명 내외로 구성된다. 공동대표는 도지사, 교육감, 시민대표(위촉위원 중 선정)가 맡는다. 이외 인원은 담당 실ㆍ국장과 사전 모집된 민간단체ㆍ산업계ㆍ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됐다.

 

위원회 구성이 완료되면 먹거리전략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도는 지난해 12월부터 국내외 사례 검토, 전문가ㆍ이해관계자 토론회 개최 등을 통해 전략의 방향을 다듬어왔다. 이에 따라 핵심 목표로 ‘도민의 먹거리 기본권 보장과 지속가능성 확보’를 정했다. 먹거리 정의 실현ㆍ지역 순환체계 구축ㆍ협력 거버넌스 구축 등 3가지 전략을 5년 단위 중장기 계획으로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도가 추진할 과제를 보면 최우선 사항은 먹거리 보장이다. 안전하고 다양성이 확보된 먹거리로 도민의 건강한 식문화를 형성할 예정이다. 이어 학교급식을 확대하며 공공급식을 적극 추진한다. 이 과정에서 도농 상생을 늘리고 식품기업의 창업을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설치, 먹거리에 관한 통합 관리체계를 구축한다. 이밖에 시ㆍ군 협력, 민간 협력 등도 강조하며 이재명 도지사의 협치를 먹거리에서도 적용한다는 기조다. 이 같은 계획을 진행하고자 위원회는 전체회의를 열어 올해 12월 말까지 먹거리 전략을 최종 수립한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 먹거리위원회는 도민의 의견을 청취하는 포럼 형태로 운영될 예정”이라며 “관심 있는 분들이 응모에 많이 참여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모집하는 위촉직 위원은 민간단체, 산업계, 학계 종사자에서 모집한다. 민간단체의 경우 소비자ㆍ학부모ㆍ복지ㆍ환경ㆍ도시농업ㆍ지속가능발전협의회ㆍ영양(교)사ㆍ식생활교육 단체 등 지속가능성 및 먹거리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단체 대표와 개인이다. 산업계는 농업ㆍ외식업ㆍ농식품 제조업ㆍ유통업ㆍ농협 등 먹거리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단체 대표 및 개인이다. 학계는 대학ㆍ연구기관 등에 근무하면서 복지ㆍ농업ㆍ정치ㆍ지방자치 분야 박사 학위 소지자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