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급속히 증가하는 치매 환자 등을 지원하기 위해 기존 의료시설을 개선한 치매 치료 전문서비스 시설을 운영하고자 국비로 사업비를 확보하고도 사업 추진이 지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안산상록보건소 및 안산시립노인전문병원(노인병원)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7월 상록보건소 등을 통해 노인병원의 시설과 장비를 보강해 ‘치매안심요양병원(안심병원)’ 운영을 정부에 제안했다.
이는 정부가 국정과제로 공립요양병원에 치매전문병동을 확충, 시설 및 가정 등지에서 돌보기 어려운 치매환자를 전문적으로 집중 치료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운영할 수 있도록 한데 따른 것이다.
시는 같은해 10월 보건복지부로부터 치매병원 운영을 위한 승인을 받고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6월까지를 사업기간으로 정하고 정부로부터 총 사업비 11억8천700만원 가운데 80%인 9억5천만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노인병원을 안심병원으로 위탁 운영할 상록보건소는 총 226병상 가운데 49병상을 행동심리 증상 집중치료 등 맞춤형 치료가 가능한 치매전문 병동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기간을 넘겼는데도 사업은 추진되지 않아 환자들이 필요한 시기에 치료를 받지 못하는 등 치매환자 지원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안산시는 인구 69만9천여명(2016년 기준)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이 5만5천592여명(상록 3만1천464명, 단원 2만4천128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늑장 행정으로 전체 인구의 10% 가량으로 추산되는 노인들 중 치매 조기검진 및 집중치료 등이 요구되는 환자들이 의료서비스를 제때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시민단체 관계자는 “날로 심각해지는 치매환자를 지원하기 위해 정부에서 예산까지 지원했음에도 사업기간을 넘겨 사업추진이 안 되고 있어 시민의 한 사람으로써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치매로 고통을 받고 있는 환자나 가족을 생각한다면 하루라로 빨리 안심병원이 운영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보건소 관계자는 사업추진이 지연된 이유에 대해 “복지부로부터 승인을 받은 뒤 사업을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시설확충 문제와 사업을 추진하는 방향이 변화가 발생하면서 지연됐다”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