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아동양육시설 아동 정신건강 적신호…관련 시설마저 사실상 부재

▲ 경기도청전경
▲ 경기도청전경

 

경기지역 양육시설에 거주하는 아동들의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시설 내 아동 중 절반가량이 정서ㆍ행동장애 등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들 아동을 전담 관리할 시설마저 사실상 전무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상황은 더 악화될 전망이다.

 

15일 보건복지부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등에 따르면 도내 아동 1천500여 명은 이른바 ‘고아원’으로 통칭하는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부모의 이혼, 가정 학대 등을 통해 시설에서 거주하는 아이들은 심각한 정서ㆍ행동장애까지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 가족여성연구원의 최근 실태 파악 결과, 시설 아동 중 37%가 정서적 불안감을 호소해 심리치료를 받고 있다. 특히 8%는 우울증 등을 겪으며 약물치료까지 병행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도내에는 사실상 이들 아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시설이 마련되지 않은 실정이다. 수원ㆍ고양ㆍ성남ㆍ부천 등 4개 시가 아동청소년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고 있지만, 이용률은 10%선에 그치고 있다. 더구나 4개 시를 제외한 타 시ㆍ군의 아동은 해당 센터를 이용할 수도 없다. 또 도 및 31개 시ㆍ군이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나 도민 전체를 대상으로 정신장애, 재난, 자살예방 등 광범위한 업무를 수행하면서 시설 아동들의 건강을 전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반면 서울시의 경우 ‘아이존’이라는 아동정신보건시설을 통해 우울ㆍ불안장애 등을 겪는 아동에 대한 방과 후 치료프로그램, 개별화된 치료서비스 등 체계적인 시스템을 지원 중이다. 또 매년 6만 건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와는 달리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김민 순천향대 청소년교육상담학과 교수는 “가족의 보호 아래 있는 아이와 달리 양육시설 등 사각지대에 놓인 아이는 심리적ㆍ정서적 지원을 받기 어렵다”며 “이들 아동을 위해 도가 주도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체계적인 운영 방향 확립 등을 위한 컨트롤 타워 필요성에 공감한다”며 “아동양육시설 아동이 겪는 각종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도 차원에서도 대책을 고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