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강현 김포시의원은 제187회 김포시의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발언’에서 “폭염으로 유난히 힘들었던 올해, 여름의 말미에 찾아온 폭우는 또 한번 시민들이 재난·재해의 위험에 노출돼 있음을 여실히 보여줬다”며 집행부의 부실한 재난 대응태세를 질타했다.
오 의원은 “지난 8월28일 내린 폭우로 풍무동 143번지 한 가정의 1층 주택은 완전 침수됐다. 안방과 공부방은 물론, 화장실까지 흙탕물로 가득한 위급한 상황이었지만 동사무소에서 가지고 온 양수기는 작동이 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인근 기업에서 가져 온 수중펌프기의 지원으로 자정이 넘어서야 어느 정도 물을 퍼낼 수 있었고 이미 주변 일대의 주택과 공장이 침수되고 노동자들의 일터와 수천만원의 기계들은 물에 잠긴 이후였다. 그렇게 집중 폭우로 김포시의 곳곳이 아수라장이었다”고 목청을 높였다.
오 의원은 또, “2017년 김포시 재난지원금 지급 통계에는 주택침수 5건, 농작물피해 1건으로 총 6건이었지만, 올해 8월28일부터 8월30일까지 3일 동안 내린 호우로 김포시에 집계된 피해는 주택 153건, 공장 217건, 농작물 및 농경지 74건 등 무려 444건이 접수돼 시의 수재 피해는 그 어느 때보다 컸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폭우로 배수되지 않은 장기지하차도는 3일 동안이나 통제되고 통계상 차량침수는 30여대나 됐다. 특히 장기지하차도의 침수는 위험천만한 상황이었다. 집수정 용량이 2천t으로 설계됐는데 복구 전까지 차있던 우수량은 4천500t이었으며 침수 차량은 10대나 됐다”고 밝혔다.
오 의원은 “기록적인 폭우와 폭염으로 인적, 물적 피해 매우 컸지만, 피해 보상의 법적 미비로 인해 적절한 예방은 물론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며 “재해, 재난에 대한 대응, 대비를 더욱 철저히 해야 하는 것은 물론, 지자체가 시민이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생활터전과 피해에 대한 보상을 현실성 있게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오 의원은 이에 “2019년 폭염대책으로 도심의 사거리, 횡단보도 그늘막 설치, 취약계층 온열질환 방지 등 열감 대책을 미리 준비하고 도심지역에 더 많은 나무를 심는 등 도시 녹지사업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또, 폭우에 대비한 대책으로 “기존의 위험지대 뿐만 아니라 새롭게 피해를 본 위험지대를 추가 지정, 계획적으로 관리하고 올해의 상황을 고려한 폄프장 용량 제고 및 증설, 비상연락망과 재난대응 메뉴얼 점검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