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시가 최근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버스민원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무정차 민원이 4천449건(35%)으로 전체의 1/3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시에 따르면 범정부 빅데이터 플랫폼 ‘혜안’을 활용, 2015년부터 3년 6개월 동안 접수된 새올 및 국민신문고 민원 총 8만5천86건 중 버스민원 데이터 1만2천37건(14.1%)에 대해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무정차 민원중 승차거부 관련 민원이 6.1%에 달했는데, 승차거부 민원은 무정차 통과가 아닌 정류소에 한번 섰다가 출발한 것을 뒤늦게 신호대기 중이거나 떠나는 버스에 승차요구 하였다가 거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민원대상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버스를 놓치게 되었을 때 불만사항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또, 무정차 민원에 대한 시간대별 분석에 따르면 주로 출퇴근 시간대와 밤늦은 시간대에 무정차 민원이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두 번째로 많은 민원은 노선변경 민원(13.7%)으로, 2016년 2분기에 M버스 노선 직선화 관련 이슈로 민원이 급증했다. 위치기반 분석에 의하면, 지난 3년여간 인천공항 노선에 대한 요구와 양촌읍 이젠 산업단지의 교통개선 및 신도시 신규 입주 아파트를 중심으로 기존 노선에 대한 변경 민원이 집중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불친절 관련 민원(13.1%)이 뒤를 이어 단순 불친절, 욕설, 기사의 반말 등에 불쾌감을 느낀 것으로 파악됐다.
난폭운전 및 신호위반 민원(8.7%)은 시민들의 안전과 직결되는 부분인 만큼 시의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이번 분석을 시작으로 해당 부서인 정보통신과와 교통개선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대중교통 개선방안을 찾아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