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의 종류는 무한하기에 역사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악기를 분류 정리하는 시도가 많았다. 그중 1914년 호른보스텔과 작스가 만든 MSH 분류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소리를 내는 발음제의 종류에 따라 고체의 탄성진동에 의한 채명악기, 막을 쳐서 그 진동에 의한 막명악기, 현의 진동에 의한
현명 악기, 공기의 진동에 의한 기명악기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관악기, 타악기, 현악기 등으로 분류된다.
브르셀 악기박물관도 고대부터 현대까지 약 7천여점의 악기를 소장 및 전시하고 있어 세계적인 악기 컬랙션과 귀를 즐겁게 해주는 관람 방식으로 방문객들로부터 사랑 받는 악기 박물관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이런 악기 박물관을 세워 음악을 사랑하는 민족의 자긍심과 긍지를 심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유명한 가수와 음악가들의 음반과 소장품을 전시한다면 세계적인 관광명소로 탄생할 수 있을 것이다. 컬렉션과 전시, 그리고 대중문화의 전달자 역할을 충실하게 한다면 수익성 창출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확신한다.
신현태 前 국회의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