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별도 차량등록사업소 없이 종합민원실에서 하루평균 수천 건의 차량 업무를 처리하면서 민원 혼잡(본보 8월2일자 13면)을 빚고 있는 가운데 시의회가 등록사업소 신설 필요성을 언급했다.
25일 시의회에 따르면 음경택 자유한국당 대표는 지난 22일 열린 총무경제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일반민원과 여권 민원을 처리하는 종합민원실에서 차량등록 업무까지 담당하면서 쾌적한 민원처리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며 “별도 차량등록사업소를 신설해 차량 관련 업무를 전담, 보다 쾌적한 행정민원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시는 청사 1층에 위치한 종합민원실에서 일반 민원과 차량등록 민원 등을 처리하고 있다. 특히 차량민원의 경우 차량 신규 및 변경ㆍ말소 및 이전 등록, 압류, 저당, 번호판 영치 등 하루 평균 2천여 건의 민원이 접수, 이를 처리하기 위한 8개의 전용창구를 운영 중이다.
더욱이 지난 2007년 2월 안양시 민원실이 여권업무대행기관으로 지정되면서 안양시민뿐만 아니라 의왕과 과천, 군포 등 인근 주민들까지 민원실을 방문, 극심한 민원 혼잡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음 대표는 “인구 60만의 안양시에 별도 차량등록사업소가 없다는 부분에 대해 신중하게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면서 “시청 내 테니스장을 활용해 차량등록사업소를 개설한다면 본청 및 종합민원실과도 가까워 보다 효율적이고 쾌적한 민원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해 차량등록 업무를 처리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별도 차량등록사업소 신설과 관련해서는 타시군 사례를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구 50만 이상의 도내 시ㆍ군의 경우 통상적으로 차량등록 대수가 15만대 이상 초과 시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ㆍ운영하고 있다. 이에 수원과 성남, 용인, 화성 등 인구 50만 이상 지자체 9곳을 포함한 대다수 지자체들은 효율적인 차량업무 처리를 위해 별도의 차량등록사업소를 설치해 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안양=한상근ㆍ박준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