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머지 1만여㎞도 추가 조사
침하 등 안전사고 선제 대응
경기지역 노후하수관으로 인한 도민 안전 문제가 제기된(본보 11월 19일자 1면) 가운데 도내 노후하수관 400여㎞에 대한 긴급 보수가 오는 2020년까지 마무리된다. 경기도와 환경부는 지반침하 등이 우려되는 지역부터 신속히 교체, 향후 추가적인 보수 구간을 진단해 안전사고에 선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16일 경기도와 환경부 등에 따르면 도와 환경부는 도내 하수관 391.7㎞에 대한 총 사업비 4천690억 원 규모의 교체ㆍ보수 작업을 오는 2020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전국적으로 보면 1천507㎞ 구간에 총 사업비 1조 7천억 원 규모다. 당초 이 구간의 작업 완료 기한은 2021년까지로 잡혔으나 1년이 앞당겨진 셈이다. 이번 계획 변경에는 이달 4일 20여 명의 사상자를 발생시킨 ‘고양 열 수송관 파열 사고’가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도내에서는 29개 구간이 책정됐으며, 해당 구간은 2015~2017년 전국적으로 나타난 ‘싱크홀’ 사고 이후 이뤄진 정밀 조사를 통해 추려졌다. 최장 구간은 안양 노후관이며, 36.4㎞에 달한다. 최고 사업비 구간은 성남 노후관이며, 430억여 원으로 운용된다.
그러나 경기지역 전체 노후하수관(20년 이상)이 9천900여㎞인 만큼 추가적인 대책도 준비 중이다. 앞선 정밀 조사 구간의 4배에 육박하는 부분에 대해 내년부터 정밀 조사가 진행된다. 이후 문제가 있는 구간이 발견되면 신속한 정비 사업을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하수관 운영 및 관리에 대한 표본 모델을 내년까지 개발, 지자체가 하수관의 결함 정도 및 개보수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지반침하 등 안전사고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복안이다.
아울러 하수관 노후화에 따른 부작용이 지반침하 등 지하안전뿐만 아니라 침수피해도 있는 만큼 상습침수지역 관리를 강화한다. 도내 연천을 비롯해 전국 12곳에 대해 오는 2022년까지 총 사업비 3천900억 원을 투자한다. 이들 12곳은 최근 침수피해가 있었던 지역이기도 하다.
도 관계자는 “시ㆍ군이 하수관 보수 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환경부와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도 “하수도 시설에 의한 지반침하 및 침수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하수관 개보수 사업의 국비 지원 확대 방안을 모색하겠다”며 “하수관 정비를 위한 전체 예산 중 노후관의 교체ㆍ보수 비중을 2016년 25.8%에서 2025년까지 50%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