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수학위제’에 뿔난 학생들…경기·인천 14개 대학교, 복수·공동학위제 협약 체결

단국대 등 학생들 “공론화 시도 안돼” 반대 목소리

경인지역 소재 14개 대학교가 학교 간 복수학위제 도입을 추진하자 해당 학교 학생들이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학생들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학생의 의견이 배제된 ‘날치기 행정’은 받아들일 수 없다며 집단행동도 예고하고 있다.

17일 경인지역대학총장협의회(이하 총장협의회) 등에 따르면 총장협의회는 지난달 27일 경인지역 14개 대학교 간 복수ㆍ공동학위 제도를 구축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경인 지역 대학 간 복수학위 학생 교류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 주요 내용은 경인 지역 14개 대학교 간 복수ㆍ공동학위 제도를 구축하는 것이다. 복수학위제 도입시 학생이 원래 소속 대학과 복수학위 협정을 체결한 대학에서 학위 취득 요건을 충족하면 두 대학교의 학위를 모두 받을 수 있다. 소속 대학에서 4년을 이수하고 교류 대학에서 추가로 1년을 더 다니면서 복수학위를 받는 ‘4+1’ 방식이다.

이처럼 경인지역 14개 대학교가 학교 간 복수학위제 도입에 협의한 가운데 해당 학교 학생들은 학생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학사제도 개편이라며 제도 도입에 대한 반대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용인 단국대학교는 17일 재학생과 단국대 복수학위제 규탄대회 관계자들을 중심으로 학교인근 버스정류장, 각 단과대, 도서관 등 학생들 왕래가 잦은 곳 등 16곳에 대자보를 붙이며 이번 복수학위제 도입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들은 대자보를 통해 “복수학위제는 학생들의 ‘수학권’, ‘학습보장권’과 직결됐지만, 학교는 사전에 학생들에게 의견을 전혀 묻지 않았다”며 “학교의 날치기 행정으로 학우들의 권리가 침해됐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 6시부터 단국대학교 곳곳에서는 이번 복수학위제 도입 반대를 위한 촛불집회가 열리고 있으며 1인 릴레이 시위 등을 통해 이번 학사제도 개편에 대한 반대 목소리를 냈다.

또 단국대 학생들은 이번 주 내로 교내에서 학교 측의 일방적인 독단으로 진행된 복수학위제 도입 규탄을 위한 집회를 열 예정이다.

규탄대회를 이끌고 있는 황동준 단국대 재학생(20)은 “학교 측은 복수학위제에 대한 정책결정에 있어 학생들과의 공론화를 전혀 시도하지 않았다”며 “MOU를 체결해놓고 공론화가 시작되니 대화하려고 하는 것은 순서가 맞지 않는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대학교 총학생회 역시 이날 복수학위제에 대한 입장문을 내고 “복수학위제는 학사행정 개편의 하나로 학생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중대한 사안”이라며 대학본부의 일방적인 제도 추진을 비판했다.

또 명지대와 한국항공대에서도 복수학위제 협약에 대한 학생 총투표를 논의하는 등 반발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양휘모ㆍ김승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