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 신도시 ‘계양테크노밸리’ 성패는 교통망

함께 선정된 남양주·하남·과천보다 서울 연결 교통책 부족
朴 시장, 계양역 신설·GTX-B 예타 조사 면제 국토부 요청
市 “산업시설 조성 후 같은면적 택지개발… 우려 안해도 돼”

19일 인천 계양구 동양동, 굴현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에 1만7천호(면적 335만㎡) 규모 신도시를 건설하는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이 발표됐다. 사진은 인천시 계양구 동양동 일대 모습. 조주현기자
19일 인천 계양구 동양동, 굴현동, 박촌동, 병방동, 상야동 일대에 1만7천호(면적 335만㎡) 규모 신도시를 건설하는 ‘2차 수도권 주택공급 계획 및 수도권 광역교통망 개선방안’이 발표됐다. 사진은 인천시 계양구 동양동 일대 모습. 조주현기자

정부의 3기 신도시로 선정된 계양 테크노밸리가 교통 인프라는 물론 취약한 사업성 등의 문제가 산적해 성공적인 신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19일 남양주, 하남, 과천과 함께 인천 계양에 3기 신도시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계양 테크노밸리는 335만㎡ 부지, 1만7천호 규모로 조성된다.

하지만, 계양 테크노밸리와 서울을 연결하는 교통대책은 이번 신도시 정책에 포함된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해 사업 성공 여부는 미지수다.

계양 테크노밸리의 주요 교통대책은 박촌역과 김포공항역 8㎞를 연결하는 신교통형 Super-BRT(간선급행버스체계) 신설, 인천공항고속도로 IC 및 드림로 연계도로 신설 등에 그쳤다.

가장 큰 문제는 교통대책의 핵심인 철도대책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도로보다는 철도 신설이 수송력과 시간 면에서 앞서기 때문이다.

반면, 이날 3기 신도시로 함께 지정된 남양주 신도시의 교통대책은 GTX(광역급행철도)-B와 서울 지하철 4호선 진접선 연장에 역 신설, 경의중앙선 역 신설 등이 포함됐으며 하남 신도시와 과천 신도시는 각각 서울도시철도 3호선 연장, GTX-C 조속 추진 등 굵직한 철도 대책이 담겼다.

이에 박남춘 인천시장은 서울지하철 2호선 계양역 신설과 GTX-B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등을 국토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주현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현재 나온 대책이 성공적인 신도시 조성에 충분하다고 볼 수는 없다”며 “앞으로 시와 국토부가 다양한 교통 대책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다른 신도시 조성 사업과 달리 계양 테크노밸리 사업은 산업단지 조성 후 택지 개발 방식을 취해 사업성 확보 여부도 불투명하다.

보통 신도시 조성 사업은 택지 개발로 얻은 이익금을 이용, 산업단지 등을 조성하는 방식을 취한다. 하지만 계양 테크노밸리는 자체적으로 산업시설 유치하고 해당 주택 수요에 따라 택지를 개발하는 방식이라 산업시설 유치 실패는 택지 개발 실패로 이어진다.

계양 테크노밸리 조성이 검단 신도시 활성화와 검암역세권 조성 등 다른 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도 우려된다. 계양 테크노밸리가 검단 신도시 및 검암역세권보다 서울에 가까이 있어 검단·검암의 분양 열기를 떨어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시 관계자는 “저렴한 토지공급과 세제혜택 등을 부여해 성공적인 기업 유치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겠다”며 “주변 택지개발사업에 대한 우려도 산업시설을 먼저 조성한 후 같은 면적만큼의 택지를 개발하는 방식을 택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