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와 반도체 부품·장비업체 등이 입주하는 120조 원 규모의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부지로 용인시가 유력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 클러스터가 용인으로 최종 결정되면 문재인 정부 최초의 수도권 규제 완화 사례가 된다.
14일 기획재정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고용 위기 타개를 위해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조성계획을 1분기에 확정하는 등 관련 절차를 곧 마무리할 계획이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8차 경제활력대책회의 겸 제6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올해 1분기 내 반도체 특화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확정해 관련 절차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4개 라인의 반도체 공장과 약 50개의 협력업체가 동반 입주하는 반도체 클러스터에 2028년까지 10년간 120조 원의 민간 투자를 유치해 일자리 1만 개를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용인은 조성 계획이 발표됐을 때부터 유력 후보지로 떠올랐다. 삼성전자 기흥사업장과도 가까워 관련 중소기업과 함께 클러스터 형성에 유리하다.
SK하이닉스 역시 고급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수도권에 클러스터가 들어서길 희망하고 있다. 현재는 이천, 충청북도 청주, 경상북도 구미 등의 지자체가 유치전에 뛰어든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클러스터 입지와 관련해 “지역은 아직 확정된 바 없다”면서 “수도권공장총량규제 완화 등을 관련 부처와 협의한 뒤 늦어도 다음 달까지 최종 조성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