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근무제 합의 ‘뒤끝’… 한국노총·민주노총 ‘비난전 격화’

민주노총 성명 “개악·야합” 비판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기자회견
“무조건 반대 민주노총은 무책임”
대승적인 결단 매도에 정면 반박

경제사회노동위원회가 탄력근무제 단위기간을 최대 6개월로 전격 합의한 가운데(본보 2월19일자 1면)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 서로에 대한 비난 수위를 높이며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김주영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이하 한국노총) 위원장은 20일 여의도 한국노총 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사회적 대화에 참여할 수 있음에도 반대만 하는 것은 무책임한 것”이라며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이하 민주노총)을 비판했다.

이어 “반대 투쟁으로 법 개악을 막을 수 있다면 한국노총도 그 길을 갈 것”이라며 “하지만 역사는 그것이 잘못됐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참여하는 한국노총은 지난 19일 탄력근로제 확대 적용 문제에 관한 노ㆍ사ㆍ정 합의를 도출했다. 이에 민주노총은 성명을 통해 ‘개악’이자 ‘야합’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번 김 위원장의 발언은 한국노총이 참여한 사회적 대화의 결과에 대한 민주노총의 비판을 반박한 것으로 풀이된다.

민주노총은 전날에 이어 이날도 성명을 내고 “사업장 교섭에서조차 이 정도 개악안에 노동조합 대표자가 직권 조인하면 한국노총은 용인할 수 있을지 몰라도 민주노총에서는 지도부 탄핵감”이라며 비난의 수위를 높였다.

이같은 민주노총의 발언에 대해 김 위원장은 “같은 노동단체로서 상대를 성명에서 매도한 게 도를 넘은 것으로 보인다. 지켜야 할 금도가 있다”며 불쾌감을 숨기지 않았다.

또 “민주노총도 함께 참여했다면 훨씬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매우 안타깝다”며 “참여하지 않고 반대 목소리만 계속 내면 이 사회가 한 단계도 진전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김 위원장은 “정치권에서 2월 국회 처리를 예고하고 탄력근로 확대 문제를 경제사회노동위원회로 넘긴 이후에는 (한국노총은) 마냥 반대만 할 수는 없었다”며 “반대만 하다가 합의 안 된 내용을 국회에서 최악의 내용으로 개악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노총은 많은 고민 속에 책임 있는 노동단체로서 2천만 노동자의 건강권과 권리를 지켜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탄력근로제 관련 사회적 대화에 나섰다”고 거듭 강조했다.

채태병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