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하이닉스, 市에 투자의향서 제출… 사실상 결정
원삼면 일대 수도권 접근성·인프라 구축 등 최적지
2022년 이후 생산시설 4개 건설… 협력업체도 입주
120조 원 규모의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입지 지역으로 용인이 사실상 결정됐다. SK하이닉스가 사업 부지로 용인을 요청하는 투자의향서를 제출, 기획재정부ㆍ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의 사전협의가 사실상 마무리된 것으로 풀이되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조성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회사(SPC)인 ㈜용인일반산업단지가 어제(20일) 용인시에 투자의향서를 공식 제출했다”고 21일 밝혔다.
투자의향서는 계약에 앞서 투자대상기업에 대한 투자의향을 밝히는 문서다. 사실상 SK 하이닉스 측이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 산업통산자원부 등 정부 관계 부처에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를 용인으로 정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이로써 SK하이닉스와 국내외 50여 개 협력업체가 참여하는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사업이 첫 삽을 뜨게 됐다. 이번 사업 부지는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일대로 448만여 ㎡ 규모다.
용인이 선택받은 이유는 ▲국내외 인재들이 선호하는 수도권 위치 ▲국내 반도체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ㆍ중소기업 협력 생태계 조성 용이 ▲반도체 기업 사업장(이천, 기흥, 화성, 평택, 청주 등)과의 연계성 ▲전력ㆍ용수ㆍ도로 등 인프라 구축 용이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부지가 확정되면 SK하이닉스는 공장부지 조성이 완료되는 2022년 이후 총 120조 원을 투자해 반도체 생산시설 4개를 건설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내외 50여 개 협력업체도 입주해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SK하이닉스는 협력업체들과의 시너지 창출을 위해 앞으로 10년간 총 1조 2천200억 원을 지원하기도 한다. 구체적으로 상생펀드 조성에 3천억 원,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하는 상생협력센터 설립 및 상생프로그램 추진에 6천380억 원, 공동 연구개발(R&D)에 2천800억 원 등이다.
앞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이 발표된 이후 용인을 비롯해 이천, 충북 청주, 충남 천안, 경북 구미 등 유치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SK하이닉스는 이천과 청주 사업장에도 투자를 이어간다는 구상도 전했다. 이천에는 M16 생산라인 구축과 연구개발동 건설 등에 20조 원을 투자하고, 청주 사업장에는 지난해부터 가동 중인 M15 생산라인의 설비 확대를 비롯해 총 35조 원의 투자를 집행하기로 했다.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용인 입지)에 대한 정부의 최종 승인은 다음 달 내려질 예정이다.
한편 이재명 도지사는 지난 18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역할은 공정하고 자유로운 환경을 만들어 기업이 경쟁력을 키우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것”이라며 경기지역 반도체 클러스터 유치를 주장한 바 있다.
여승구ㆍ김승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