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정의당 “한유총 집단행동에 단호히 맞서야”
한국당 “시행령 미뤄야”… 바른미래당 “조건없는 대화”
여야 정치권은 3일 한국유치원총연합회(한유총)가 유치원 개학연기 투쟁을 강행키로 하고 이에 정부가 엄정 대응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해 대조적인 반응을 보이며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한유총의 집단행동을 비판하며 정부의 단호한 대처를 주장한 반면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정부가 한유총과 대화에 나설 것을 촉구하고, 이찬열 국회 교육위원장(수원갑)은 중재자로 나설 용의가 있음을 피력했다.
민주당 박찬대 의원(인천 연수갑) 등 국회 교육위 위원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유총은 무기한 개학 연기를 즉각 철회하라”면서 “정부와 교육당국의 엄정한 행정적, 법적 대응으로 학부모의 불편이 해소되고 유아교육이 정상화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또한 권미혁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진작 유치원 3법이 통과됐다면 오늘과 같은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며 “작년 말 한국당의 반대로 유치원 3법이 패스트트랙으로 처리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돌이켜 보면 두고두고 아쉬움이 남는다”며 한국당을 동시에 겨냥했다.
민주평화당 문정선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한유총은 아이들과 애타는 부모를 볼모로 잡고 협박을 하고 있다. 미래세대를 인질로 잡고 돈을 요구하는 인질범의 행태와 한 치 다르지 않다”면서 “교육부는 한유총이란 인질범에게 굴복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도 지난 2일 브리핑에서 “유아교육의 공공성과 투명성 확보를 방해하는 사익집단의 몽니가 끝이 되도록 강도 높은 조치를 거듭 당부한다”고 요구했다.
반면 한국당 국회 교육위 위원들은 국회에서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유치원의 개학 연기만은 중단해 주기 바란다”면서 “교육부는 유치원 대란이 해결될 때까지 시행령 시행을 미뤄주기 바란다. 밤샘토론을 하더라도 학부모들과 아이들의 피해가 커지기 전에 시급히 대화에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또한 “유치원과 학부모, 유아교육 전문가가 참여하는 토론회 등을 개최, 교육부의 졸속 정책을 바로 잡기 위한 장을 마련하겠다”며 “여야정과 이해당사자, 전문가가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을 교육부와 민주당에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바른미래당 이찬열 국회 교육위원장은 이날 임재훈 간사와 함께 기자회견을 통해 “한유총은 개학 연기 선언을 즉각 철회하고, 교육부는 한유총과 조건 없는 대화에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면서 “저와 임 간사가 대화의 중재자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앞서 김수민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교육당국은 한유총과 지금 당장 조건 없이 대화에 임해야 한다”며 “한유총 또한 자라나는 아이들을 상대로 더 이상 집단행동을 자제하고 상식적이고 건전한 대화에 임해야 할 것이다”고 촉구했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