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서울·제주 이어 광역지자체 한곳 추가 육성 기대
정부, 항공·크루즈 노선 확충 등 200억 규모 지원 계획
인천이 서울과 제주도에 이어 국내 3번째 국제 관광도시로 선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2일 인천 송도국제도시 경원재에서 직접 주재한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인천을 국제 관광도시로 육성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문 대통령은 “외국 관광객들이 찾는 지역이 주로 서울과 수도권, 제주와 부산 정도로 한정됐다”라며 “의료, 해양, 체험, 크루즈, 음악관광 등 지역에 특화된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자체가 관광산업의 주체가 돼 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정부는 세계적 관광도시로의 잠재력을 가진 광역지자체 한 곳을 서울과 제주에 이은 국제 관광도시로 키우고, 기초 지자체 4곳을 지역 관광 허브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국가관광전략회의는 문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직접 주재한데다, 대한민국 1호 국제도시인 송도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문 대통령이 언급한 ‘광역지자체 한 곳’이 인천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문 대통령이 앞선 1일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지로 인천의 유치 경쟁 도시인 부산을 결정한 것도 인천의 국제 관광도시 가능성을 뒷받침하고 있다.
인천과 부산이 국제 관광도시와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개최를 놓고 경쟁을 벌인 만큼 도시 간 형평성이 작용할 것이라는 분석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이자 지구 최후의 냉전지 한반도는 역설적으로 평화가 무르익을수록 평화 관광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며“그런 면에서 오늘 회의가 열린 이곳 인천이야말로 국가관광 전략회의를 하기에 적합한 곳”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인천은 세계 최고의 인천공항을 갖고 있지만, 관광객들이 인천보다 다른 도시로 향하는 문제가 있다”고 밝힌 뒤 “하지만, 내항과 개항장 일대 원도심, 폐 산업시설 등을 관광 콘텐츠로 재생시켰고, 복합리조트 집적화, MICE 산업, 크루즈관광 등을 통해 접경지역의 약점을 평화관광으로 승화시켰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국제 관광도시에 항공과 크루즈 노선 확충과, 스마트 관광을 위한 환경 정비 등을 지원하며 관련 예산은 200억원 규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국제 관광도시로 인천을 특정하지 않았지만, 연설 내용과 맥락을 보면 인천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든다”라며“국제 관광도시로 결정 되면 명실상부한 평화 세계관광도시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날 국가관광전략회의를 마치고 송도 인천대 앞 솔찬공원 케이슨24 무대에서 인천대와 외국인 대학생 등 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청춘 바다를 노래하다.’ 행사에 참석했다.
유제홍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