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도시공사가 실시한 한강시네폴리스 민간사업자 공모에 50여 업체가 참가의향서를 접수하는 등 흥행에 성공하는 듯했지만, 지난 15일 사업설명회 후 업계에 불편한 소문들이 나돌면서 외면하는 업체들이 속출, 양질의 민간사업자 선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18일 도시공사와 금융, 건설사 등 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 참가의향서 접수 결과, 50여 업체가 접수해 이들 업체들을 상대로 지난 15일 사업설명회를 열었다.
하지만 당초 우려대로 이날 사업설명회는 ▲기존 사업자와의 협의기간 촉박 ▲과도한 예치금 ▲차순위자 예치금 반환 규정 ▲추가 예치금 가산점 ▲경기도 7월 사업정상화 기준 등 까다로운 조건 등을 둘러싸고 문의와 건의가 쏟아졌다.
이에 업체들 사이, ‘이미 사업자가 정해진 것으로 보인다’ 속칭 ‘짜고 치는 것 아니냐’는 주장들이 제기되면서 최종 공모를 외면하는 업체들이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이 1순위로 문제 삼는 조항은 기존 사업자와의 협상 기간이 6일로 한정된 점이다. 지나치게 협상 기간이 짧아 협상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하고 기존 민간사업자에게 절대 유리할수 밖에 없는 조건이라는 주장이다. 또 협상기간 연장 조건도 문제 삼고 있다. 기존 민간사업자와 2회 이상 대면을 못했을 경우 연장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한 시행사 관계자는 “6일로 협상기간도 절대 짧은데 ‘2회 이상 대면을 못했을 경우 연장’이라는 조항 자체가 문제”라며 “이는 기존 민간사업자에게 대면을 거부하는 빌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고 등을 제외하고는 기존 민간사업자는 무조건 대면 협상에 응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응모시 사업계획서와 제출과 함께 내야 하는 1천억 원에 이르는 예치금도 무리한 요구라는 주장이다. 한달 이내에 1천억 원을 낼 수 있는 업체가 얼마나 되겠느냐는 항변이다.
이런 가운데 관심을 보이던 금융사의 이탈 조짐이다. 3~4개 컨소시엄에 분산 참여키로 했던 A금융사의 경우, 모두 정리하고 1개 컨소시엄만 참여키로 했다는 여론이 돌면서 업체들의 냉소적 반응이 확산되는 모습이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초기 관심을 보이던 금융사들이 거부하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어 금융사를 포함한 컨소시엄 구성이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도시공사 관계자는 “1개 사업자만 응모하더라도 선정심의위원회의 평가에서 가산점을 제외한 득점이 680점 이상이고 적정의견이 위원회의 과반수 이상인 경우에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포=양형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