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은 최근 발생하고 있는 밀폐공간 질식재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공공하수도 관리대행업체, 한국환경공단 관계자 및 시공사 직원, 공무원 등을 대상으로 현장교육을 실시했다.
23일 가평군 하수도사업소에서 열린 이번 교육은 공공하수도사업장 밀폐공간이 하수, 오수속 혐기성 박테리아로 호흡 및 부패 작용에 의해 산소가 소비되고 황하수소, 메탄 등 유해가스로 인한 산소결핍, 화재, 폭발 등 위험요소가 상시 존재함에 따라 보유장비의 수선에서부터 장비사용 방법, 단계별 밀폐공간 작업 매뉴얼과 사고발생시 안전조치까지 현장에서 실시돼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특히 교육생들은 산소부족 및 질식중독 등 위험요소가 산재해 있는 공공하수도 밀폐공간 맨홀에서 복합가스 농도측정기를 사용해 유해가스를 측정을 통해 배풍기를 이용한 환기 후, 송기마스크와 공기공급장치를 착용하고 맨홀에서 실전과 같은 훈련을 가졌다.
한편 군은 정부가 오는 2022년까지 사망사고 절반 줄이기 목표를 추진하면서 4대 위험작업에 질식재해 작업을 선정하여 집중관리하고 있는 가운데 하수도처리시설이 혐오시설이 아닌 주민친화시설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가평읍 공공하수처리시설 주변 산책로와 진입로 200m 구간에 팬지 480본, 데이지 812본을 식재했다.
이와 함께 각 읍면 하수도사업소 6개소 800m와 가평읍 달전리 제방길 400m 구간에 대해서도 루드베키아 등 꽃묘 1만본을 식재함으로서 인근 주민들에게 맑고 깨끗한 자연환경을 제공하고 공공하수처리시설을 상시 개방해 학생뿐만 아니라 주민들에게도 하수처리과정을 알기쉽게 설명하는 등 하수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물의 소중함을 인식시켜 나가고 있다.
가평=고창수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