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시는 그동안 국내 최초로 도시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맞춤 도시재생 분석사업’을 추진, 지역의 골목별 우선순위를 정하고, 신속한 행정대처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예산의 효율적인 투자를 통해 시민 삶의 질 향상 등 선제적인 도시계획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일 시에 따르면 지난 해 경기도와 함께 협업과제로 시흥시 전역의 17개동 (국가기초구역 220개, 수행사 블록 3천170여 개)을 중심으로 5대 지표 (인구, 주거, 경제, 생활안전, 기반시설)를 지수화해 5등급으로 분류하고 체계화해 분석했다.
또 시범분석 지역인 대야, 신천, 은행 등 구도심에 대한 5대 상세 시나리오, 즉, 도시재생 우선 지역 선정, 주택개선 및 사회형 공동주택 입지 및 골목상권 및 지역경제 현황, 시민편의를 위한 공공시설 입지, 골목길 안전을 위한 환경개선을 분석했다. 이와 함께 시는 해당 분야의 각종 계획 수립 시(도시기본계획, 전략계획, 주거복지 기본계획, 주택 종합계획, 상권 활성화 계획, 안전관리종합계획)도시재생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각 부서가 효율적이고 다각적으로 행정에 활용토록 했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시흥시는 도시 균형발전과 경제적ㆍ사회적ㆍ물리적ㆍ환경적 활성화를 위해 모든 정책을 데이터에 기반해 지역의 변화를 감지해 대도시 진입을 준비하고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행정을 실천해 시흥의 미래를 열겠다”고 말했다.
시흥=이성남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