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와 용인시 간 ‘땅 싸움’이 극적으로 해결된 데 이어 5년간 지지부진했던 수원시와 화성시 간 경계조정도 본격 추진된다. 이번 움직임에 따라 군 공항 이전, 함백산 메모리얼파크 등으로 서로 얼굴을 붉혔던 양 지자체 갈등의 역사가 종지부를 찍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오는 15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수원시ㆍ화성시 일부 경계조정 관련 주민 공청회’를 개최한다. 이번 경계조정의 핵심은 화성시 반정동 일원이다. 해당 지역은 과거 망포동 등 일대가 수원시에 편입되면서 영어 n자 형태로 수원시에 둘러싸였다. 반정동 주민들의 생활권도 수원지역이다.
이에 수원시가 2014년 화성시에 경계조정을 공식 요청하면서 해당 사안이 수면 위로 떠올랐지만 제자리걸음만을 반복하고 있다. 군 공항 이전, 함백산 메모리얼파크 등으로 충돌이 잦았던 양 지자체 간 원만한 협의가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앞서 지난 2015년 7월 도가 마련한 중재안(수원시 망포동 일원과 화성시 반정동 일원을 맞교환)도 답보 상태다.
분위기 반전은 용인에서 일어났다. 반정동과 유사하게 7년간 경계조정으로 대치하던 수원시와 용인시 간 ‘청명센트레빌’ 사안이 해결됐기 때문이다. 각 시의회에서 통과된 ‘수원-용인 경계조정안’은 지난달 도의회도 통과됐다. 경계조정안은 용인시 영덕동 청명센트레빌아파트 일대 부지 8만 5천961㎡와 수원시 원천동 홈플러스 인근 준주거지 39필지 4만 2천619㎡를 맞바꾸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이번 공청회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제출된 경계조정안은 망포4지구 45블록 19만 8천915㎡와 반정2지구 1ㆍ2블록 19만 8천915㎡를 맞교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청회에서는 경계조정 추진배경 및 대상지역 실태 등에 대한 설명 이후 주민 의견청취 및 답변이 이뤄질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양 지자체 간 대화는 잘 됐으나 버스 노선 연장 등 선결조건을 제시한 화성시의회의 입장이 관건”이라며 “수원과 용인 사례처럼 해묵은 지자체 갈등이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현행 지방자치법상 지자체 간 경계 조정은 단체장 간 합의, 지방의회 의견 청취, 행정안전부 장관 승인, 국무회의 의결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