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자춘추] 한의약으로 지키는 여름건강

삼복(三伏)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계절이다. 여름철은 섭생에 소홀하면 누구라도 건강을 잃기 쉬운 계절이다. 본디 계절이 바뀌는 환절기는 사람의 몸이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는데 많은 기력을 소모시킨다.

특히 여름철에 유의해야 할 질병은 일사병, 열사병, 장염(식중독), 냉방병 등이다. 한의학에서는 주로 하지(夏至) 이후에 더위로 인한 발병을 ‘서병(暑病)’이라고 한다. 몸에서 열이 나고 가슴 속이 답답하며, 갈증이 몹시 나서 물을 들이 켜고, 두통이 있고, 저절로 땀이 나고, 몸이 나른하면서 기운이 없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그 분류가 자세하고 구체적이다.

여름철 무더위 속에서 힘든 일을 하다가 더위를 먹는 ‘중서(일사병)’, 중서가 심해져서 정신을 잃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며 경련이 이는 ‘서풍(열사병)’, 날씨가 덥다고 자꾸만 차가운 음료와 음식을 즐겨 먹다가 배탈이 나는 ‘모서(장염, 식중독)’, 땀을 흘린 후 갑자기 찬바람을 쐬거나 큰 일교차에 의해 걸리는 여름 감기인 ‘상서’, 그리고 요즈음의 냉방병에 해당하는 ‘주하병’ 등 여름철 건강을 위협하는 여러 가지 질병을 원인에 따라 구분해 치료한다. 청서익기탕ㆍ이향산ㆍ익원산ㆍ육화탕 등을 병인에 맞게 잘 처방하면 그 효과가 매우 탁월하다. 향유(香)와 백편두(白扁豆)는 특히 여름에 유용한 약재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서병을 미리 예방할 수는 없을까? 서병을 예방하려면 평소에도 중요한 섭생법을 여름에는 더더욱 신경 써서 철저히 지켜야 한다.

첫 번째, 잠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조금 일찍 잠자리에 든다. 날씨가 더워져 집중력이 떨어지고 졸음이 올 때는 낮에 잠깐씩 눈을 붙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두 번째, 음식은 가급적 따뜻한 음식을 섭취한다. 여름에는 땀을 흘려 소화기가 냉해지기 쉬운 계절이므로 기회 있을 때마다 삼계탕, 장어탕, 영양탕 등 따뜻한 음식을 먹는다. 세 번째, 발효 음식은 체질 불문하고 몸에 좋은 음식이다. 청국장, 발효 간장, 플레인 요거트 등은 매일 조금씩이라도 섭취하는 게 좋다. 네 번째, 제철과일이 좋다. 여름에는 수박, 참외, 복숭아, 자두 등 이뇨작용이 좋은 과일이 풍부하다. 다섯 번째, 음료는 카페인 탄산 등 인스턴트 음료보다 오미자, 매실, 미숫가루, 식혜 등 우리 전통음료가 좋다. 마지막으로, 여름에는 음주와 성생활을 절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무더위와 불쾌지수로 건강을 해치기 쉬운 여름, 슬기와 지혜가 함축된 한의학적 섭생법으로 여름을 이기고 모두가 건강해지는 대한민국을 꿈꿔 본다.

윤성찬 경기도한의사회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