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등급 높아 ‘GB 해제’가 발목
市·국토부, 개발방향조차 못잡아
주민들 “GB기능 상실 개발나서야”
의정부 지역경제에 큰 몫을 차지했던 306 보충대가 해체된 지 5년이 흐르도록 개발방향조차 확정되지 않은 채 방치되면서 공동화는 물론 지역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3일 의정부시와 옛 보충대 주변 상인에 따르면 현역병 입영부대였던 용현동 306 보충대는 지난 2014년 12월23일 2천200명의 입소자를 끝으로 12월31일자로 해체됐다.
306 보충대는 1989년 옮겨온 뒤 24년 동안 한해 8만 명의 장병 및 가족 등 50만 명이 이 곳을 거쳐가면서 연간 100억 원대의 지역경제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매주 화요일 입영 때는 부대 입구 300m 2차선 도로가 차량과 인파로 메워지고 입영 전날부터 택시, 여관, 음식점은 특수를 누릴 정도로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이에 시는 부대 해체가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만큼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 토지주인 국방부에 보충대 25만2천여㎡를 비롯한 인접 2군수 의무 보급대, 503 방공대대 등 29만3천여㎡에 대한 개발을 국방부에 건의했다. 국방부도 어떤 목적으로 쓸 것인지 개발방안을 마련해 협의하자는 긍정적 의견을 내놨다. 또 지난 2017년 10월에는 발전종합계획에도 반영돼 도시개발을 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시는 지난해 4월 도시개발구역 지정과 개발계획을 위한 용역에 들어가 지난 6월 중간보고까지 마치고 국토부와 도시개발관련 사전 협의를 앞두고 있다.
이런 가운데 GB 해제가 개발의 관건이 되고 있다. 지난 2014년 국토부 환경조사에서 환경 2등급이 71%나 돼 협의에 어려움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환경등급 1, 2등급지는 개발을 지향하고 원형보전이 원칙이다. 부대시설에 보안등급이 적용돼 환경등급이 높게 나타난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군부대시설로 훼손 면적이 70%에 이르러 사실상 GB 기능을 상실한 지 오래인 만큼 이를 감안해야 한다는 의견도 높다. 특히 해체 초기 다른 군부대가 사용할 것이라는 발표와 달리 306 보충대 시설은 지난해 말부터 완전히 비어 있고 2군수 의무보급대, 503 방공대대 등도 상당 부분 비어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한 시민은 “옛 306 보충대 길 맞은편에 2천400여 가구 대단위 단지 아파트가 건설 중이고 인근에 법무타운이 들어서는 등 일대가 급격하게 개발되고 있다”며 “군부대 부지가 장기 방치되면 일대 균형발전에도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국토부가 현지조사를 하면 환경등급이 실제와 다름을 알 수 있다. 국토부에 실제 현황이 반영되도록 협조를 구하고 개발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부=김동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