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산선 ‘첫 삽’… 안산·시흥∼여의도 ‘25분 시대’

국토부, 안산시청 강당서 착공식
연장 44.7㎞ 구간… 2024년 개통
수도권 서남부 교통혁명 ‘기대감’

9일 안산시청에서 열린 ‘신안산선 복선전철 착공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 이재명 경기도지사, 윤화섭 안산시장, 임병택 시흥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박순자ㆍ조정식ㆍ백재현ㆍ김철민ㆍ전해철ㆍ김명연 국회의원, 이영훈 포스코건설 대표, 김상균 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 참석자들이 착공기념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9일 안산시청에서 열린 ‘신안산선 복선전철 착공식’에서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 이재명 경기도지사, 윤화섭 안산시장, 임병택 시흥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박순자ㆍ조정식ㆍ백재현ㆍ김철민ㆍ전해철ㆍ김명연 국회의원, 이영훈 포스코건설 대표, 김상균 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등 참석자들이 착공기념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전형민기자

수도권 서남부지역 주민들이 서울 여의도까지 25분대에 진입할 수 있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이 우여곡절 끝에 첫삽을 떴다.

국토교통부는 9일 오후 3시 안산시청 대강당에서 안산 한양대 에리카 캠퍼스역을 출발해 서울 여의도를 남~북으로 연결하는 총 연장 44.7㎞에 이르는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 착공식’을 열었다.

이날 착공식에는 김현미 국토교통부장관과 이재명 경기도지사, 박순자 국토위원장, 사업시행사인 포스코 이영훈 사장과 넥스트레인㈜ 관계자를 비롯해 전해철ㆍ김철민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과 윤화섭 안산시장을 비롯한 신안산선이 통과하는 지자체장과 시민 등 300여명이 참석해 기대감을 드러냈다.

착공식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공사에 돌입할 신안산선 복선전철 사업은 오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총 3조3천465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지하 40m 이하 대도심에 건설돼는 신안산선은 지하 매설물은 물론 지상부의 영향 없이 최대 시속 110㎞로 운행할 수 있어 이를 이용할 경우 안산에서 여의도까지 25분대, 서해선인 원시역에서 여의도는 36분대에 주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승도 가능해져 수도권을 촘촘하게 잇는 역할로도 기대를 모은다.

지난 1998년 ‘수도권 광역교통 5개년 계획’ 사업에 포함된 신안산선은 이날 착공까지 무려 16년의 시간이 흘렀다.

2010년에는 재정사업으로 기본계획이 고시됐으나 2015년 8월 민자사업으로 전환됐으며 최근에는 신안산선 노선 일부가 화성시 고정리 공룡알 화석지를 저촉해 문화재현상변경심의위의 심의를 거치는 등 많은 우여곡절을 격어야 했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서남부지역 도민들이 교통난을 겪어 왔으나 이번 신안산선 차공을 통해 서부지역 발전은 물론 경기 전역의 발전을 가져올 중요한 사업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도 차원에서도 최선을 다해 지원하겠다”고 환영사를 했다.

김현미 장관은 기념사에서 “숙원사업인 복선전철 사업이 드디어 오는 첫삽을 뜨게 됐다”며 “그동안 국가재정 및 민간투자사업을 오가며 2016년 최종 민자사업으로 확정된 뒤에도 4번이나 고시한 끝에 착공을 할 수 있게 됐으며, 앞으로 관련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추진하는데 차질이 없도록 하고 신안산선이 지역주민들의 자랑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순자 국토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수도권 서남부권 1천350만 주민 여분께 추석선물을 드릴 수 있어 감개무량하다”며 “신안산선 착공은 경기서남부권 지역 주민의 삶이 송두리째 바꾸는 교통혁명으로 신안선이 속도를 낼 때마다 주민들의 희망과 행복의 속도 또한 그 만큼 풍부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